뷰페이지

학령인구 감소로 생존 기로 놓인 지방대...“25년 뒤 절반 이상 사라진다”

학령인구 감소로 생존 기로 놓인 지방대...“25년 뒤 절반 이상 사라진다”

오세진 기자
입력 2021-12-05 17:13
업데이트 2021-12-05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 생존율 75% 이상인 곳은 서울·세종
경남·울산·전남은 5곳 중 1곳만 살아남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자료사진.(해당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자료사진.(해당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앞으로 25년 뒤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서울 등 수도권의 인구 쏠림 현상으로 지방의 학령인구가 급감하면서 지방대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결국 문을 닫는 대학들이 속출할 것이란 관측이다.

5일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가 최근 한 포럼에서 발표한 ‘인구변동을 둘러싼 주제를 통한 미래 전망’ 보고서를 보면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대학 385곳 중 절반(49.4%)만 살아남고 나머지 195곳은 사라진다는 얘기다.

전체 17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5% 이상인 곳은 서울(81.5%)과 세종(75.0%)뿐이었다. 강원(43.5%), 대전(41.2%), 경북(37.1%), 부산(30.4%), 전북(30.0%) 등은 50%를 밑돌았다. 경남(21.7%), 울산(20.0%), 전남(19.0%) 등은 5곳 중 1곳만 살아남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수도권과 지방의 출생아 수 격차가 점점 벌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지역별 출생아 수와 초·중·고 학령인구 증감률, 대학별 신입생 충원율 등을 추산해 본 결과 2027년부터 출생아의 약 48%가, 2042∼2046년에는 약 49%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태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면서 지방의 출생아 수는 줄어들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대학의 ‘핵심 자원’인 신입생 수도 감소하게 된다. 지방대 학생 수가 감소하면 등록금 수입이 줄고, 비정규직 교직원 수 증가로 이어지면서 교육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 교수는 “이제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데스밸리’(죽음의 계곡)로 진입했다”면서 “결국 대학 붕괴는 지역 소멸과 국가경쟁력 저하로 연결되기 때문에 정부가 대학 발전을 위한 중장기 지원책을 구상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지방 학생과 수도권 일자리를 연계하는 정부 정책과 함께 권역별 산업 특성화로 생산연령인구의 지방 유입을 유도하고 지방대 재정 지원을 통해 교육 여건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제언도 내놓았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