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단계 4주째에도 효과 한계…‘거리두기 연장+α’에 무게

4단계 4주째에도 효과 한계…‘거리두기 연장+α’에 무게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1-08-04 17:48
수정 2021-08-05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대본 거리두기 조정안 내일 발표

주말 효과 끝나자 확진자 다시 1700명대
오후 6시 이후 사적 모임 제한 유지될 듯
金총리 “실효성 측면서 보완점 살펴야”
당국 “치명률 관리 중심 전환 시기상조”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국내 누적 확진자 20만명 넘어서
코로나19 국내 누적 확진자 20만명 넘어서 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진단검사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연일 1천명대를 나타내면서 국내 누적 확진자가 2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2021.8.2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데다 델타 플러스 변이까지 나오는 등 위기 상황이 지속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수도권 4단계를 다시 연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다음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조정안을 6일 발표한다. 현재 수도권(4단계), 비수도권(3단계)에서 시행 중인 단계별 방역 조치는 오는 8일까지다. 가장 관심사인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는 계속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4일 브리핑에서 “사적 모임 제한은 현재 (시행 중인) 거리두기 체계에서 굉장히 핵심적인 조치”라면서 “4단계 체계에서 저녁 6시 이후 3인 이상 모임 금지 조치를 변동할 예정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김부겸 국무총리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오후 6시 이후 2인 이상 만나지 못하게 해 놓은 것은 자영업자에게 너무 지나칠 만큼 혹독하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 “한시라도 빨리 확산세를 반전시켜서 이런 조치가 더는 안 되도록 노력하자고 하는 의미로 이해해 달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거리두기 조정안에는 4차 유행 장기화에 따른 보완책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방역의 실효성 측면에서 보완할 점은 없는지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도 “델타 변이로 인한 전파력이 강화되는 측면이 있어서 형평성 논란과 함께 방역을 실효성 있게 강화해야 될 부분이 있는지도 함께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725명 늘었다. 1주일 전인 지난달 28일 0시 기준 1896명보다 다소 줄었지만 확산세가 꺾였다고 하기에는 미미한 수준이다. 게다가 여름 휴가철 성수기를 반영하듯 이동량도 늘었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수도권은 지난주보다 0.8% 증가해 큰 변동이 없는 상태지만 비수도권은 6.4% 늘어 3주 연속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코로나19 대응 체계를 신규 확진자 발생 중심에서 치명률 관리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에 대해 정부는 ‘아직은 때가 아니다’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이 통제관은 “치명률 중심의 방역 체계는 확진자 발생을 억제하기보다는 거리두기 등 방역 관리를 최대한 완화하면서 고령층 등 치명률이 높은 대상을 보호하는 체계”라면서 “이런 변화는 백신 예방접종을 통해 치명률을 충분히 낮추고 확산 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통제 가능한 때에 가능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2021-08-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