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격무 시달리다 회식 중 쓰러져 사망한 부사관…“업무상 재해”

격무 시달리다 회식 중 쓰러져 사망한 부사관…“업무상 재해”

곽혜진 기자
입력 2021-06-06 10:21
업데이트 2021-06-06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망 직전 1주 동안 60시간 근무

이미지 확대
4일 오후 충남 계룡대 정문 모습. 2021.6.4 연합뉴스
4일 오후 충남 계룡대 정문 모습. 2021.6.4 연합뉴스
격무에 시달리던 중 회식 자리에 참여했다가 쓰러져 사망한 공군 부사관의 유족이 유족연금을 지급하라며 국방부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업무상 재해를 인정받았다.

서울행정법원 행정3부(유환우 부장판사)는 지난달 14일, 숨진 공군 부사관 A씨의 배우자가 국방부 장관을 상대로 낸 유족연금 지급거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공군 한 부대에서 주임원사로 근무하던 A씨는 2018년 10월 17일 부대 회식에 참석했다가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에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부검 결과, 사망원인은 관상동맥 박리증으로 나타났다. 공군본부 보통전공사상 심사위원회는 순직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국방부는 “공무와 A씨의 사망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이후 A씨 배우자는 국방부의 처분에 불복해 재심을 청구했고, 군인연금급여 재심위원회에서도 청구를 기각하자 작년 1월 행정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망인의 과로와 스트레스 등 업무상 부담으로 관상동맥박리증이 발생하거나 기존 질병이 현저하게 악화해 상병이 발생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고, 사망과 공무수행 사이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며 A씨 유족의 손을 들어줬다.

전산 기록을 살펴보면 A씨는 사망 전 1주 동안 근무시간이 총 55시간 11분에 달했으며 사망 전 12주 동안에는 주당 평균 48.4시간가량을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판부는 실제 A씨의 근무 시간은 이보다 훨씬 길었던 것으로 봤다. 재판부는 “망인의 업무가 매우 다양하고 조기 출근이나 야근하는 경우가 잦았던 점을 고려하면 컴퓨터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근무 시간을 산정하는 것이 더 적정하다”고 지적했다.

재판부는 또 “추석 연휴 기간에도 내내 출근한 점, 진급 심사를 위해 쉬는 날에도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점, 휴가를 자유롭게 쓰기 어려웠던 점 등을 고려할 때 A 씨가 단기적·만성적 과로로 인해 적지 않은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