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범 있는 살인범, 시신 옮겨 유기한 경우 단독범보다 약 10배 높아

공범 있는 살인범, 시신 옮겨 유기한 경우 단독범보다 약 10배 높아

오세진 기자
입력 2021-05-20 14:26
업데이트 2021-05-20 16: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인사건에서 공범이 있는 범행이 단독범의 범행보다 피해자의 시신을 범행 현장 밖으로 옮겨 유기하는 경우가 10배 가까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가 발행하는 학술지 ‘치안정책연구’에 실린 논문 ‘살인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범죄자 특성 예측요인에 대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저지른 살인사건의 경우 단독범에 의한 살인사건에 비해 피해자의 시신을 다른 곳으로 옮겨 유기하는 비율이 9.84배 높았다. 논문은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발생한 살인사건 가운데 경찰청 과학적범죄분석시스템(SCAS)에 등록된 검거된 살인사건 315건을 분석했다.

공범에 의한 범행은 두 개 이상의 범행도구를 사용하거나 피해자의 금품을 빼앗는 경우가 단독범 범행에 비해 각각 7.04배, 6.48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논문 저자인 박희정 대구경찰청 과학수사과 범죄분석관은 “공범에 의한 범행은 사전 계획 하에 이뤄지기 때문에 다양한 범행도구를 사용하거나 증거 인멸을 위해 시신을 이동 유기하는 등의 행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면식 없는 피해자를 상대로 범행을 저지른 비면식범은 피해자를 급습해 살해한 경우가 면식범에 비해 2.48배 높았고, 현금과 귀금속 등 금품을 훔치는 경우도 면식범보다 3.12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비면식범의 범행 동기는 금전 목적이 35.8%로 가장 많았다. 피해자의 무시하는 말투 등을 이유로 하는 분노에 의한 범행이 29.5%, 개인적 스트레스가 29.2%로 뒤를 이었다.

박 분석관은 “금전 목적의 범행은 주로 피해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침입하여 공격하는 형태로 이뤄진다”면서 “이런 점은 비면식에 의한 범행에서 급습의 범행 패턴이 높게 나타나게 된 이유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해자 연령으로 보면 비면식범과 살인, 강도 등 전과가 있는 범죄자, 공범이 있는 범죄자들은 면식범, 전과 없는 범죄자, 단독범에 비해 19세 이하인 아동청소년을 상대로 범행을 저지르는 경우가 각각 3.40배, 2.38배, 3.89배 높았다.

박 분석관은 “사건 수사관들이 살인사건 현장에 나가보면 용의자는 대부분 도주한 상태이고 범인이 저질러 놓은 범죄 현장만 보게 된다”면서 “객관적인 물적 증거 획득에 실패하게 되면 사건 수사가 장기화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확한 사건 판단을 위해서는 범죄자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하다”면서 “향후 살인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검사 결과를 통해 범죄자의 성격적 특성과 범죄 현장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