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속상황실 찾은 박원순 “미세먼지, 우리사회 가장 큰 도전과제”

단속상황실 찾은 박원순 “미세먼지, 우리사회 가장 큰 도전과제”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2-22 15:21
업데이트 2019-02-22 15: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비상저감조치에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실시간 감시…자동차 공회전 단속도

이미지 확대
박원순 서울시장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단속 상황실 찾아
박원순 서울시장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단속 상황실 찾아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22일 오전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청 서소문 별관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단속 상황실을 살펴보고 있다. 2019.2.22 연합뉴스
“이게 5등급 차량 번호를 식별해 자동으로 과태료를 부과하는 거죠?”

미세먼지 특별법 시행 이후 강화된 비상저감조치가 처음 시행된 22일 오전. 서울시청 서소문 별관에 마련된 ‘노후차량 운행제한 단속 상황실’ 벽면의 대형 스크린에 운행제한을 어긴 차량의 화상이 수없이 떴다.

서울시는 이날 시내 51곳 폐쇄회로(CC)TV 단속 시스템 등을 동원해 배출가스 5등급인 중량 2.5t 이상 경유차를 실시간 감시했다. 약 40만대로 추정되는 이들 차량은 저감 조치가 발령되면 오전 6시∼오후 9시 시내 운행을 할 수 없다. 운행이 적발되면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상황실을 격려 방문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 미세먼지 대책으로 내놓은)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에 여러 반론과 논란도 있었지만, 그것이 계기가 돼 미세먼지 특별법이 제정됐다”며 “이제 정식으로 비상저감 조치가 첫 발령된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그래서 배기가스 5등급 차량에 대한 법적 단속 권한이 생겼고, 또 강제 2부제도 가능한 것”이라며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도전과제라 할 수 있는 미세먼지에 대한 전국적이고 통일된, 효율적 대책이 이제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이날 시에는 운행제한과 관련한 시민의 문의 전화가 빗발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시장은 “저렇게 많은 전화가 오는 것도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시민들도 잘 협력해주고 계신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이날 배출가스 5등급 차량뿐 아니라, 자동차 공회전도 단속했다. 분진청소차량도 시내 도로 곳곳을 누비고, 먼지가 다량 발생하는 공사장은 출근 시간대 공사를 중지시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