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사역 흉기난동 사건, 범인과 맞선 경찰 13일 저녁 발생한 서울 암사역 흉기난동 사건 현장에서 출동한 경찰이 10대인 범인과 맞서 서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암사역 흉기난동 사건, 범인과 맞선 경찰
13일 저녁 발생한 서울 암사역 흉기난동 사건 현장에서 출동한 경찰이 10대인 범인과 맞서 서 있다.
미온적 대처인가, 과잉 진압을 우려한 불가피한 몸사리기인가.’
13일 유튜브 영상을 통해 대중에 알려진 ‘암사역 흉기 난동 사건’의 범인 검거 과정을 두고 갑론을박이 치열하다. 커터칼을 든 10대에게 경찰이 쩔쩔 맸다는 비판도 나오지만, 범인 검거 과정에서 과잉 대응하면 발생할 불상사를 우려해 어쩔 수 없이 소극 대처했다는 의견도 있다.
경찰은 현장 출동 경찰관이 매뉴얼에 따라 적법하게 조치를 했다는 입장이다. 강동경찰서 관계자는 “칼 든 범인을 상대할 때 테이저건 장비 사용 방법에 따라 범인의 45도 측면 적정거리에서 발사했으나 피의자가 움직여 2개 전극침 중 1개가 튕겨나왔다”고 밝혔다. 테이저건은 2개의 전극침이 몸에 박혀야 전류가 흘러 범인을 제압할 수 있다. 1개가 튀어나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민갑룡 경찰청장은 14일 기자 간담회에서 “법집행 매뉴얼에 따라 조치했다”고 말했다. 다만 “테이저건의 타깃 불빛은 하나인데 전극은 2개라 부정확하다”면서 “테이저건 침을 한발 발사할 때 가격이 비싸 훈련을 많이 할 재정적 여건이 안 된다”고 말했다.
경찰학계에 따르면 테이저건 한 발을 발사할 때마다 갈아끼워야하는 카트리지 가격은 4만 5000원 정도로 비싸다. 이 때문에 경찰은 테이저건 발사 훈련을 충분히 하기 어렵다. 이훈 조선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발사 훈련 등 작동법은 물론 상황을 종합 판단해 대처하는 훈련도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칼을 든 10대 피의자가 인파를 뚫고 도주한 것을 두고 “(경찰이) 무고한 시민들을 위험에 노출시킨 건 아쉽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최초 현장 도착 경찰관이 2명이라 피해자 보호와 피의자 대응을 우선으로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선진국형 경찰을 표방하기에 범인도 다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피의자가 어리고 왜소했고 커터칼이 이미 부러진 상황인 점 등을 고려하면 충분히 제압할 수 있었다”면서도 “하지만 범인이 흥분을 가라앉히도록 우선 설득한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피의자인 A군에 대해 특수절도·특정범죄가중처법상 보복상해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할 예정이다. 또 절도 등 다른 혐의가 있는지도 수사할 계획이다.
고혜지 기자 hjk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