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보수도 진보도 수천건 ‘비공감 공격’… 매크로 댓글 전쟁

보수도 진보도 수천건 ‘비공감 공격’… 매크로 댓글 전쟁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04-30 23:22
업데이트 2018-05-01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댓글 조작 의심 기사 184건 분석

대선 이후 매크로 의심 늘어나
드루킹 활동한 1~2월에 폭증
靑 관련기사 ‘베댓’ 4개 사라져
“조작 증거 수집 중” 답글도
“네이버 대책, 매크로 못 막아”
이미지 확대
포털 사이트 댓글 조작이 보수·진보 진영을 가리지 않고 이뤄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댓글 중 상단에 배치되는 일명 ‘베스트댓글’(베댓)을 차지하기 위해 양 진영 모두 자동화 프로그램인 ‘매크로’를 동원하는 등 불법을 저지른 정황도 드러났다.

3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수복 교수, 연세대 강정한 교수 등으로 구성된 포털 댓글 연구진에 따르면 2016년 1월부터 지난 21일까지 기계적 댓글(매크로) 작업이 의심되는 정치 기사는 모두 184건이다. 매크로 의심 기사는 지난해 5월 대선 이후 눈에 띄게 늘기 시작했으며 120건은 지난해 12월 이후 기사로 조사됐다. 특히 드루킹이 댓글 조작을 하다 적발된 지난 1월과 2월 사이 매크로 의심 기사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5월 논문 발표를 앞둔 이 연구 결과는 지난 27일 연세대에서 열린 ‘댓글 조작’ 관련 토론회에서 일부 공개됐다. 토론자로 나선 강 교수는 조사 대상인 기사(네이버 카테고리별, 일별 최다 조회 1~30위 기사)와 댓글은 각각 7만 6850건, 9539만 9168건이라고 밝혔다.

토론회를 통해 소개된 매크로 의심 기사에는 양 진영의 치열한 전투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지난해 7월 30일 네이버 메인에 올라온 ‘靑 “北 최대 압박하지만 탈출구로서 남북대화 門 열려”’ 기사를 보면 상위 댓글 1~4위 글이 모두 작성자(1, 3, 4위 댓글 모두 1개 아이디)에 의해 삭제된 상태다. 최상위 댓글에 달린 답글에 보면 ‘댓글조작 증거 수집 중’이란 내용이 나온다.

또 진보 진영 측 댓글로 추정되는 상위 5번째 댓글부터 공감 수와 비공감 수가 일정한 패턴을 보인다.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기본 댓글 배열 기준을 ‘호감순’으로 삼았다. 호감순이란 비공감 수에 가중치(3배)를 준 뒤 공감 수에서 뺀 값(순호감도)의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이다. 이 기준대로 하면 5번째 댓글(공감 1628건, 비공감 382건)의 순호감도는 482점이다. 그다음 6번째 댓글은 481점, 7~9번째 댓글은 480점, 10~11번째 댓글은 479점 등 순호감도가 1점 단위로 질서정연하게 늘어서 있다. 진보 진영이 단 댓글에 보수 진영이 반복적으로 비공감 폭격을 가해 상단에서 끌어내리자 진보 진영이 매크로(동원된 아이디 500여개 추정)를 이용해 즉각 대응에 나섰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강 교수의 분석이다.

네이버가 지난해 11월 30일부터 댓글 배열 기준을 호감순이 아닌 ‘순공감순’(공감 수-비공감 수)으로 바꿨지만 오히려 매크로 개입은 더 늘었다. 비공감에 가중치가 사라지면서 비공감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상단에 배치된 댓글을 끌어내리지 못하자 공감 수를 늘리기 위해 양 진영 모두 매크로를 동원한 ‘화력 전쟁’에 나선 것이다.

지난 2월 2일 네이버에 실린 기사 ‘평창올림픽 개막식 16개국 정상급 참석…다자외교 시동 건다’에서는 순공감순 1~4위를 기록한 댓글의 공감 수와 비공감 수가 각각 8000여건, 6000여건이다.

강 교수는 “최상위 댓글 4개에서 대규모 화력 충돌이 있었다. 매크로 개입이 농후하다”면서 “네이버 댓글 정책 변경으로는 매크로 댓글 조작을 막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8-05-01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