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 ‘걷고 싶은 거리’에서 버스킹 공연을 하던 댄스팀이 관객의 머리채를 잡고 흔든 논란 행동에 대해 사과의 뜻을 밝혔다.
홍대 버스킹 머리채 논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홍대 버스킹 머리채 논란
지난 12일 한 이용자의 트위터에 6초 분량으로 올라온 영상에 이 모습이 담겼고 13일 2만번 넘게 리트윗되면서 이슈가 됐다.
이 영상을 올린 게시자는 “홍대 댄스 공연을 하는데 갑자기 (댄서가) 여성분 머리를 잡고 나왔다. 영상을 찍다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공연을 구경하다가 갑작스럽게 머리채를 잡힌 피해 여성은 사과는커녕 자신을 이상한 사람 취급을 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 여성은 한 게시판에 글을 올려 “홍대 거리에서 버스킹을 하는 팀을 보게 됐다. 혼자였고, 앞 뒤 상황 없이 갑작스레 머리채를 잡히게 됐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라 저지하지도 못했고, 빈혈이 심해서 어지러움을 견디지 못하는 다리에 힘이 풀리고 몸을 가누지 못해 이리저리 끌려다니다가 결국 옆에 있던 스피커까지 쓰러뜨렸다”면서 “정신을 차리고 보니 전 큰 웃음거리가 됐고, 제 머리채를 잡고 흔들던 남성은 ‘왜 갑자기 몸에 힘을 푸냐’ 라며 제 반응이 이상하다는 듯 얘기했다”고 말했다.
영상 속에서 여성 관객의 머리채를 잡은 길거리 공연팀 하람꾼의 리더 임병두(36)씨는 14일 자신의 SNS에 “이번 공연으로 인해 당사자, 피해자 분들이 계셨기에 먼저 죄송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무릎 꿇고 사죄드린다”면서 “지나가는 시민을 억지로 갑자기 잡아다 머리를 잡고 폭력행사를 의도한 것이 아니다. 큰 액션으로 좀 더 큰 즐거움을 함께 공유 하고자 했었다”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영상=유튜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