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일 내놓은 군산조선소 지원대책에 대해 전북도와 군산시 등은 ‘알맹이 없는 내용’이라며 추가 방안을 요구했다.
전북도는 정부가 내놓은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대책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진홍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정부의 대책 발표 직후 “정부가 최선을 다해 대책을 준비했지만 도는 일관되게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을 요구했고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아쉽다”며 “제1순위는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인 만큼 하루빨리 정상 가동이 되길 간절히 희망하고 근로자와 협력업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대책이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군산조선소는 전북 경제의 8%를 차지하는데 가동 중단으로 6000여명이 직장을 잃었고 가족 2만여명이 생계를 걱정하게 됐다”며 “무엇보다도 조선소의 재가동이 필요하고 전북도가 제시한 대형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군산시는 “가동 중단을 기정사실로 하듯이 시민 달래기 식으로 내놓은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며 “정부 지원대책에 대해 실망을 금하지 못한다”는 공식입장을 내놨다.
이어 “해결책은 오로지 조속한 정상가동에 있다”며 추가 대책과 함께 현대중공업이 수주물량을 조속히 배정하라고 촉구했다.
군산시의회도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산단 경기침체, 자영업 붕괴, 인구감소 등 경기침체가 도미노로 이어져 군산과 전북 경제가 파탄에 놓였다”며 “노후선박 교체, 공공선박 조기 발주, 선박펀드를 활용한 물량을 군산조선소에 즉시 배정하는 특단의 대책과 일자리 창출 및 경제활력을 위한 지원을 서둘러달라”고 주문했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른 지역지원 대책’을 심의·확정했다.
대책은 ?선박 신조 수요발굴 및 지원 ?조선협력업체 및 근로자 지원 ?지역경제 충격 완화 및 지원 등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됐다. 군산조선소 재가동 여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전북도는 정부가 내놓은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대책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진홍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정부의 대책 발표 직후 “정부가 최선을 다해 대책을 준비했지만 도는 일관되게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을 요구했고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아쉽다”며 “제1순위는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인 만큼 하루빨리 정상 가동이 되길 간절히 희망하고 근로자와 협력업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대책이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군산조선소는 전북 경제의 8%를 차지하는데 가동 중단으로 6000여명이 직장을 잃었고 가족 2만여명이 생계를 걱정하게 됐다”며 “무엇보다도 조선소의 재가동이 필요하고 전북도가 제시한 대형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군산시는 “가동 중단을 기정사실로 하듯이 시민 달래기 식으로 내놓은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며 “정부 지원대책에 대해 실망을 금하지 못한다”는 공식입장을 내놨다.
이어 “해결책은 오로지 조속한 정상가동에 있다”며 추가 대책과 함께 현대중공업이 수주물량을 조속히 배정하라고 촉구했다.
군산시의회도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산단 경기침체, 자영업 붕괴, 인구감소 등 경기침체가 도미노로 이어져 군산과 전북 경제가 파탄에 놓였다”며 “노후선박 교체, 공공선박 조기 발주, 선박펀드를 활용한 물량을 군산조선소에 즉시 배정하는 특단의 대책과 일자리 창출 및 경제활력을 위한 지원을 서둘러달라”고 주문했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른 지역지원 대책’을 심의·확정했다.
대책은 ?선박 신조 수요발굴 및 지원 ?조선협력업체 및 근로자 지원 ?지역경제 충격 완화 및 지원 등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됐다. 군산조선소 재가동 여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