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거부’에 잇따른 무죄 판결 …대체복무제 도입될까

‘병역거부’에 잇따른 무죄 판결 …대체복무제 도입될까

입력 2017-05-15 09:23
수정 2017-05-15 14: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부지법, 새정부 출범 이틀 뒤 ‘여호와의 증인’ 신도 2명에게 무죄 판결文대통령, 군복무 강요·구속에 반대…‘장기 무상 사회복무’ 제안

종교적 신념에 따라 입영을 거부한 이른바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무죄 판결이 이어지는 가운데 새 정부가 출범하고서도 처음으로 이들에 대한 무죄 판결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오늘은 병역거부자의 날
오늘은 병역거부자의 날 세계병역거부자의 날인 15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주최로 열린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 처벌 중단 및 대체복무제 도입 촉구 기자회견에서 2005년 출소한 나동혁 씨를 비롯한 병역거부자들이 포승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종교적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이들이 대체복무를 하면 인정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무죄 판결과 맞물려 대체복무제 도입 목소리에 힘이 실릴지, 관련 논의가 진전될지 주목된다.

15일 서울동부지법에 따르면 형사5단독 김주옥 판사는 이달 12일 입영을 거부한 혐의(병역법 위반)로 기소된 신모(21)씨와 장모(21)씨에게 각각 무죄를 선고했다.

이들은 기독교 소수 종파인 ‘여호와의 증인’ 신도로 현역 입영 통지서를 받고도 입영을 거부해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부는 이들의 입영 거부가 병역법 제88조에 규정한 ‘정당한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김 판사는 특히 대체복무제와 관련해 유엔 인권위원회 권고와 대만 도입 사례 등을 거론하며 “양심의 자유와 병역의 의무 사이의 갈등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김 판사는 “피고인은 병역 의무를 기피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양심에 비추어 이를 대체할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한다”며 “국가는 이를 실현할 의무와 권능이 있음에도 외면해 왔다. 국가의 의무 해태로 인한 불이익은 스스로 부담해야지 피고인의 책임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무죄 판결은 2004년 이후 계속 나왔지만, 이번 정부에서는 더욱 주목받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이 대체복무제에 긍정적 시각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올 초 출간한 대담집 ‘대한민국이 묻는다(부제 : 완전히 새로운 나라, 문재인이 답하다)’를 통해 “종교적 신념 때문에 집총을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에게 대체복무를 할 수 있게 해주면 된다”라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또 “굳이 종교적 신념을 인정하지 않고 군 복무를 강요하고, 위반하면 구속시키고 이럴 것은 아니다. 문제는 대체복무가 군 복무보다 특혜처럼 느껴지는 것인데 형평성 있게 하면 그렇지 않다”며 군 복무보다 길게 무상으로 사회 복무를 하는 것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의 대선 캠프도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의 인권 관련 공약 질의에 “대체복무제를 도입해 양심적 병역거부로 인해 형사처벌을 받는 현실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그간 수차례 무죄 판결이 있었지만, 이번 판결은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대체복무제를 약속한 문 대통령 정부 아래에서 나온 첫 무죄 판결”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황수영 간사도 “병역거부권 인정이나 대체복무제 도입을 더는 미룰 이유가 없다. 새 정부가 나서 국제 사회의 기준에 맞는 국가가 돼야 한다”고 관련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등은 지난 60년간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로 수감됐던 사람은 약 1천9천여 명에 달하며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최소 397명이 현재 수감돼 있다고 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