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조원 투입해 직·간접 일자리 32만개 만든다

서울시, 1조원 투입해 직·간접 일자리 32만개 만든다

입력 2017-01-18 11:04
수정 2017-01-18 1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보다 신규 일자리 4만개↑…청년일자리플러스센터 2월 개관

서울시가 예산 1조원을 투입해 일자리 32만개를 만든다. 지난해보다 신규 일자리는 4만 개 늘리고, 청년 취업 관련 콘트롤타워도 다음 달 문을 연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7 서울시 일자리 종합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시는 “지난해 서울 기준 청년실업률이 10.3%까지 치솟아 청년 실업자가 1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며 “실질 실업률은 33.3%가 넘어 일자리 문제가 시민 생활을 위협하고 있다”고 배경을 밝혔다.

시는 올해 예산 1조원을 들여 직접 일자리 12만 4천개, 간접지원 일자리 19만 9천개 등 총 32만 3천116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직접 일자리란 뉴딜 일자리, 공공근로, 장애인활동보조인 등 시나 투자출연기관이 직접 고용하는 일자리다. 간접지원 일자리는 고용 보조금, 창업지원, 직업훈련, 취업알선 등으로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일자리를 뜻한다.

시는 뉴딜 일자리 같은 공공일자리 6천500개, 청년예술단·예술교사 같은 문화예술인 지원 1천930개, 아동시설보육사·부모모니터링단 같은 경력단절여성지원 1천564개 등 지난해보다 신규 일자리가 약 4만개 늘었다고 소개했다.

올해 일자리 32만개는 청년 일자리 6만 218개, 여성 일자리 6만 1천268개, 중장년층 일자리 3만 8천378개, 어르신 일자리 6만 2천734개, 장애인 일자리 5천772개, 저소득층 일자리 1만 9천335개 등으로 각각 이뤄졌다.

특히 청년 실업을 해소하기 위한 청년일자리는 청년 중심 뉴딜일자리 5천500개, 청년예술가 1천780개, 강소기업 채용지원 2천개, 창업지원 2천500개, 생활체육지도사 432개 등으로 꾸려졌다.

또 ‘서울형 해외일자리 사업’ 모델을 개발해 청년 1천 명을 대상으로 해외 취업을 시범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형 강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최대 2천만원의 고용지원금을 주고, 고용창출·근무환경 개선에 따라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도 벌인다.

시는 이와 더불어 청년 취업 관련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청년일자리플러스센터’를 다음 달 중구 장교동 서울고용노동청 1층에 1천109㎡ 규모로 문을 연다.

센터는 청년취업지원기관 관리, 일자리 종합정보 제공, 전문 상담사 육성, 밀착 취업상담, 특화 프로그램 운영, 스터디룸 무료 대여 등 기능을 맡는다.

특히 취업을 바라는 청년들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365일 연중무휴로 매일 오후 10시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청년을 위한 취업 지원 서비스도 확대된다.

시는 서울 시내 일자리카페를 현재 41곳에서 연내 100곳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다. 일자리카페에서는 회원제로 ‘취업진단→역량 강화→매칭지원→취업’에 이르는 전 과정을 관리받을 수 있다.

청년에게 무료로 정장을 빌려주는 ‘취업날개서비스’도 지난해 4천 명에서 올해 1만 명까지 수혜 대상을 늘린다. 올해는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도 무료로 정장을 대여해 줄 방침이다.

시는 이 밖에도 얼굴 사진과 출신 지역 기재가 없는 표준 이력서를 시 산하 전체 투자출연기관으로 확대 보급한다. ‘열정페이’를 막고자 아르바이트 임금체불 신고센터와 최저임금 위반 신고포상제도 운영한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은 9일 동대문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폭염 대응책을 긴급 점검했다. 방문에는 이 지역 시의원인 심미경 의원도 함께했다. 앞서 8일 서울은 117년 만에 7월 상순 역대 최고기온(37.8도)을 기록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유·초·중·고등학교에 ‘폭염경보에 대한 대응 철저 요청’의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하굣길 화상·열사병 피해 예방을 위한 양산쓰기 등 긴급대책을 제안했다. 또, 폭염경보 발령 때 학교장이 등하교 시간 조정,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방문한 이문초등학교는 주변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750여 명이 재학 중이고, 내년 1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 의장은 먼저 학교장으로부터 폭염 대응책과 늘봄학교 등 방과 후 돌봄 현황을 청취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실을 둘러봤다. 학교장은 폭염이 길어지면서 학교 기본운영경비의 30~40%가 전기, 가스, 수도요금으로 나가는 실정이라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이날 최 의장은 여름방학 기간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의 수요를 학교가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