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HIV/AIDS 인권활동가 기자회견
12월1일 세계 에이즈의 날을 앞두고 30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사랑의 온도탑 앞에서 HIV/AIDS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회원들이 ’에이즈 공포와 낙인을 넘어! 저항하는 소수자들의 행동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11.30
연합뉴스
연합뉴스
‘세계 에이즈의 날’인 12월 1일을 하루 앞둔 30일 HIV/AIDS 인권활동가 네트워크는 30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에이즈에 대한 공포와 낙인을 없애고 혐오와 차별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한국에서 최초의 감염인이 보고된 지 30년이 지났고, 2015년 기준 1만명 이상 감염인이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지만 차별과 낙인은 더 견고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네트워크 측은 지난달 신촌 세브란스 병원이 에이즈 환자의 신장 투석 치료를 거부한 사례, 서울지방경찰청이 HIV 양성 판정을 받은 의경을 경찰병원으로 강제 후송한 뒤 동료 전원에게 HIV 검사를 받도록 한 사례를 소개했다. 이들은 “이는 명백히 공포와 낙인에 기반한 비과학적이고 위법적인 대응”이라고 비판했다.
HIV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약을 먹고 진료를 제대로 받으면 에이즈로 진행되지 않고 보통 사람과 똑같이 살 수 있다. 죽음에 이르는 병으로 여겨지던 HIV 감염과 그에 따른 에이즈는 관리가 가능한 만성질환이 됐다. 김대희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사무국장은 “아직도 HIV 감염인들은 낙인과 공포로 얼룩진 삶을 살고 있다”면서 “오히려 차별 때문에 제대로 된 진료를 받지 못하면 에이즈 환자가 되고, 이어 신규 감염인이 양산된다”고 설명하면서 이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염인 당사자인 윤가브리엘 HIV/AIDS 인권연대 나누리플러스(+) 대표는 “아픈 사람이니 치료를 더 잘 받아야 하는데 진료를 거부하면 어떻게 살아가겠나. 또 자본주의 사회에서 일을 못 하면 어떻게 살아갈 수 있나”라면서 감염인들에 대한 의료 차별과 고용 차별을 비판했다.
윤 대표는 “한국의 에이즈 예방은 아직도 콘돔을 나눠주는 정도가 전부”라면서 “국제사회에서도 효과도 없고 확산을 막는 데 도움도 안 된다고 평가받은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감염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에이즈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