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분석① 서인원-조선사
서인원(55·조선사) 진선여고 수석교사전체적인 내용이 이전과 큰 차이는 없다. 그러나 대외 관계에서 백두산정계비와 독도를 수호한 안용복의 이야기를 4단원에 설명하면서 정작 3단원 조선 부분에는 없다. 내용 배치와 설명 부분에서 상당히 아쉬운 점이다.
7차 국정 국사 교과서 이후 교과서들은 학생 주도 수업을 중시하면서, 사료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탐구 생활을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2단 구성으로 설명이 많아 각 사료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7차 국정 국사 교과서로 돌아간 느낌을 준다.
전체적으로 기존의 서술 방식과 큰 차이가 없으며, 일부 내용은 풀어서 서술한 면도 보인다. 그러나 135쪽의 예송에 대한 설명 등 일부 내용은 충분한 설명 없이 어렵게 서술된 점도 있다. 전체적으로는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는 국정이든 검정이든 교과서 내용 측면에서 문제가 될 소지는 적다. 문제는 고대사와 근현대사의 서술 부분이다. 국정 한국사 교과서의 가장 큰 문제는 절차상의 문제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국정 교과서를 발간한다면 내용에서의 이념 여부 문제를 떠나 역사교육의 정상화를 그르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