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캠퍼스 건립을 둘러싼 서울대 총학생회의 본관 점거가 한달째를 맞은 가운데 과거 학교본부가 학생들 몰래 신입생의 기숙생활을 의무화하는 ‘거주형 대학’(Rsidential Campus·RC)을 추진했다는 내부 문건이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서울대 총학생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학내 언론에 공개된 내부문건 관련 보도를 인용하며 “2013년 학교본부가 이야기했던 ‘RC는 진행 안 한다’는 답변은 거짓이었다”고 주장했다. RC는 학생들이 시흥캠퍼스 설립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였다. 이에 서울대 측은 RC 설립, 특정 단과대학 이전, 특정 학년 이전 등은 배제하겠다고 밝혀왔다.
학교 측은 “논란이 된 문구는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말을 수기로 적어둔 것일 뿐 본부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문건 작성 시기를 보면 전임 학교 집행부에서 정리된 내용으로 현 집행부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대학원 총학생회 측은 “본부가 가진 모든 자료를 교수와 학생집단 대표자에게 전부 공개하라”며 “독단적인 사업 추진이 반복되지 않도록 학생대표자들이 의결권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다음 주 총학 선거가 있는 만큼 선거 이후 본격적으로 학생 참여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9일 서울대 총학생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학내 언론에 공개된 내부문건 관련 보도를 인용하며 “2013년 학교본부가 이야기했던 ‘RC는 진행 안 한다’는 답변은 거짓이었다”고 주장했다. RC는 학생들이 시흥캠퍼스 설립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였다. 이에 서울대 측은 RC 설립, 특정 단과대학 이전, 특정 학년 이전 등은 배제하겠다고 밝혀왔다.
학교 측은 “논란이 된 문구는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말을 수기로 적어둔 것일 뿐 본부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문건 작성 시기를 보면 전임 학교 집행부에서 정리된 내용으로 현 집행부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대학원 총학생회 측은 “본부가 가진 모든 자료를 교수와 학생집단 대표자에게 전부 공개하라”며 “독단적인 사업 추진이 반복되지 않도록 학생대표자들이 의결권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다음 주 총학 선거가 있는 만큼 선거 이후 본격적으로 학생 참여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