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과일 공세에 수익성 악화…국내 포도밭이 사라진다

수입 과일 공세에 수익성 악화…국내 포도밭이 사라진다

입력 2016-09-19 07:06
수정 2016-09-19 0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최대 포도산지 중 한 곳인 충북 영동·옥천지역 포도밭이 사라지고 있다.

한·칠레,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체결 등으로 수입 과일 공세가 커진 데다, 일손이 많이 가는 작목이어서 농사짓는 게 그만큼 힘들기 때문이다.

19일 영동군에 따르면 지난 6∼7월 원예특작분야 FTA 폐업지원신청을 받은 결과 725곳의 농가에서 302㏊(노지 271㏊·시설 31㏊)의 포도농사를 접겠다고 접수했다.

이는 이 지역 전체 포도밭(1천553㏊)의 19.4%에 달하는 면적이다.

이 지역 포도 재배면적은 전국의 11%, 충북의 69.4%를 차지한다. 전성기인 2010년 2천222㏊에 비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경북 영천·김천과 함께 국내 3대 포도산지로 꼽히는 곳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포도밭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체리·망고·키위·멜론 같은 수입 과일에 시장을 내줬고, 노동력이 많이 드는 포도농사에 매달릴 일손도 모자라기 때문이다.

영동포도연합회 오용은 회장은 “포도의 수익성이 떨어진 탓도 있지만, 고령화된 인구구조도 포도농사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포도는 이른 봄 가지치기를 한 뒤 곧바로 나무껍질을 벗겨줘야 하고, 개화기에는 순을 따고 알을 솎은 뒤 봉지 씌우는 작업을 한다. 병충해를 막기 위해 4∼5차례 방제작업도 해야 하는 등 일손이 많이 가는 농사다.

농민들은 “복숭아 등 다른 과일과 비해 2배 가까이 품이 드는 데도 수입은 이에 미치지 못하다”고 하소연한다. 이 때문에 농민들은 힘든 포도농사 대신 복숭아·자두·아로니아로 전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인근 옥천군에서도 올해 140곳의 농가에서 49.6㏊(노지 32.8㏊, 시설 16.8㏊)의 포도밭 폐원을 신청했다.

이 지역 포도밭(230㏊)의 21.6%가 사라질 위기에 놓인 셈이다. 2004년만 해도 이 지역 포도밭은 786㏊였다. 그러던 것이 한·칠레 FTA 발효 이후인 2010년 590㏊로 줄고, 6년 만에 또다시 반토막났다.

옥천군 관계자는 “지금은 포도보다 복숭아 재배 면적이 더 많다”며 “포도의 수익성이 예전만 못해지면서 주산지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신청한 농가는 다음 달까지 심사를 거친 뒤 폐원절차를 밟게 된다. 3.3㎡당 노지포도는 5천835원, 시설포도는 9천15원의 폐원 보상금이 지급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