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순창군에서 불법 한방진료와 치과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집단으로 C형 간염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나 보건당국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31일 전북도에 따르면 순창군 순창읍 A내과에서 200여명의 C형간염 환자가 치료를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병원에서 C형간염 환자가 많이 치료를 받은 사실을 파악해 조사에 들어갔다. 1차 역학조사 결과 이 병원 환자들은 주삿바늘 재사용 등의 혐의는 없고 일부 환자가 불법 한방치료와 불법 치과 진료 행위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는 이들이 불법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C형간염에 걸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무면허 의료행위를 한 사람들은 농촌 지역을 떠돌며 불법으로 침을 놓거나 싼값에 치과 치료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자들은 특정 기간에 집중된 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여러 명의 불법 의료 시술자로부터 치료를 받았다.
순창보건의료원 관계자는 “순창 지역에 고령 환자가 많다 보니 인구대비 환자 수가 많은 것이지 집단 발생은 아니다”며 “이런 상황은 고령 환자가 많은 지역은 모두 똑같을 것이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지금까지 조사한 결과를 보면 불법 진료를 통한 간염으로 추정된다”며 “환자들이 떠돌이 불법 의료 행위자로부터 치료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31일 전북도에 따르면 순창군 순창읍 A내과에서 200여명의 C형간염 환자가 치료를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병원에서 C형간염 환자가 많이 치료를 받은 사실을 파악해 조사에 들어갔다. 1차 역학조사 결과 이 병원 환자들은 주삿바늘 재사용 등의 혐의는 없고 일부 환자가 불법 한방치료와 불법 치과 진료 행위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는 이들이 불법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C형간염에 걸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무면허 의료행위를 한 사람들은 농촌 지역을 떠돌며 불법으로 침을 놓거나 싼값에 치과 치료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자들은 특정 기간에 집중된 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여러 명의 불법 의료 시술자로부터 치료를 받았다.
순창보건의료원 관계자는 “순창 지역에 고령 환자가 많다 보니 인구대비 환자 수가 많은 것이지 집단 발생은 아니다”며 “이런 상황은 고령 환자가 많은 지역은 모두 똑같을 것이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지금까지 조사한 결과를 보면 불법 진료를 통한 간염으로 추정된다”며 “환자들이 떠돌이 불법 의료 행위자로부터 치료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