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산업 ‘직장 괴롭힘 보고서’
남성은 금융·보험업 34% 최다불이익 우려 문제제기 38% 불과
연구원이 많이 종사하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여성 근로자 절반이 성희롱 피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6개월간 1건 이상의 괴롭힘을 주 1회 이상 경험한 비율을 보면 ‘숙박·음식점업’이 27.5%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의료인과 사회복지사가 종사하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6.0%),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25.0%) 등 순이었다. 교육서비스업은 15.5%로 가장 낮았다.
성희롱 경험률은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이 34.5%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여성만 놓고 보면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경험 비율이 50.0%로 훨씬 더 높았다. 남성의 경우 ‘금융·보험업’이 34.4%로 높은 편이었다. 폭력 및 위협 피해율에선 ‘운수업’이 12.5%로 최고로 조사됐다.
괴롭힘과 성희롱 가해자를 업종별로 나누면 15.0~34.0%가 간부·임원, 18.0~40.0%가 직속 상사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건설업에선 ‘원청직원’ 가해자 비율이 11.0%에 달했다. 부동산·임대업과 숙박·음식점업에선 ‘고객’ 가해자 비율이 무려 34.0%와 30.0%였다.
성희롱 가해자를 보면 남성이 67.5~95.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인사상 불이익 우려와 향후 직장 생활에 대한 부담 때문에 피해자가 괴롭힘과 성희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비율은 37.9%에 그쳤다. 피해자가 직접 가해자에게 항의하는 비율은 17.9%뿐이었다. 본인이 스스로를 괴롭힘 피해자라고 여기는 비율도 전 산업을 통틀어 최대 7.0%에 머물렀다.
서 위원은 “근로자 인권이 발달한 북유럽 등에서는 피해 사례 접수 때 사업주와 가해자가 ‘근거 없음’을 증명해야 하고 피해자의 보호를 강조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안전하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통로를 찾을 수 없다”며 “문제를 호소할 수 있는 소통 창구와 괴롭힘을 예방하는 제도·법령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8-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