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분기 알바 시급 6천718원…편의점·PC방은 낮아

서울 2분기 알바 시급 6천718원…편의점·PC방은 낮아

입력 2016-07-21 08:02
수정 2016-07-21 08: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남 3구에 일자리 30% 몰려…서울이 전국 평균(6천526원)보다 192원 높아

올해 2분기 서울시 아르바이트 평균 시급이 6천718원으로 1분기 6천687원보다 소폭 올랐다.

서울시는 21일 알바천국, 한국노동사회연구소와 함께 2분기 알바천국에 등록된 채용공고 107개 업종, 39만 8천381건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서울지역 2분기 아르바이트 시급은 최저임금(6천30원)보다 688원, 전국 평균(6천526원)보다 192원이 높았다.

자치구별로 강서구가 6천954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마포(6천933원), 강남(6천923원) 순이었다.

성북(6천589원), 도봉(6천545원), 중랑(6천519원)은 낮은 편이었다. 강서구와 중랑구 차이는 435원이다.

아르바이트 공고는 편의점(5만 4천534건)과 음식점(5만 1천850건)이 가장 많았다. 두 업종이 10만건이 넘어 전체 공고의 27%를 차지했다.

업종별 시급은 배달이 7천374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단배포(7천145원), 사무보조(6천946원) 등 순이었다.

알바를 가장 많이 뽑는 편의점은 6천232원으로 서울 평균보다 낮았다. 베이커리(6천299원), 커피전문점(6천324원), PC방(6천326원)도 낮은 편이다. 음식점은 6천857원이다.

지역별로 강남구가 4만 9천569건으로 전체의 15.6%를 차지했고 서초(2만 6천478건), 송파(2만 2천133건) 등 강남 3구에 아르바이트 일자리 30.9%가 몰렸다.

반면 하위권인 중랑, 강북, 도봉구에는 4.5%에 불과했다.

대학가 중에는 홍익대(1만 285건), 건국대(1만 94건), 서울교대(5천336건), 한양대(4천609건), 서울대(4천525건) 순이었다.

연령별로 20∼24세가 17만 4천149건(87.9%)이고 15∼19세가 1만 5천311건(7.7%)이었다.

25세 이상은 사무보조 등 사무실 업무를 가장 선호하고 10대와 20대 초반은 음식점이나 카페 아르바이트를 찾았다.

서울시는 하반기에 아르바이트 전반 실태조사를 해 연말에는 아르바이트 청년권리 보호 종합대책을 발표한다.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국장은 “청년실업률이 높아지면서 아르바이트가 첫 일터가 되는 청년들이 늘고 있지만 근로계약 미체결, 주휴수당 미지급 등 기초고용질서가 지켜지지 못한 경우가 많다”며 “아르바이트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