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 휴원에 엇갈린 학부모들
# “어린이집에서 피치 못할 경우에만 등원시켜 달라고 알림장을 보냈더라구요. 한 살짜리 애를 맡길 곳이 있어야죠.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어린이집의 취지가 이해되는 부분도 있지만 맞벌이 부부는 당장 방법이 없으니까요. 애들은 정상적으로 봐 주면서 반대를 하면 안 되나 싶죠.”-회사원 김모(27·여)씨.# “회사에 말해서 어렵게 이틀 연차를 썼어요. 어린이집 원장 선생님이 설명하는 것을 들어보니 맞춤형 보육이란 게 결국 보육료를 깎겠다는 거잖아요. 어린이집 휴원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았습니다.”-회사원 서모(31)씨.

23일 오전 서울 강서구의 한 어린이집 교실 선반에 아이들이 갖고 놀던 인형들이 덩그러니 놓여 있다.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A어린이집은 휴원에 동의하는 부모들만 아이를 보내지 않는 ‘자율등원’을 실시했다. 이날 총원 20명 중에 9명이 나왔다. 이곳 원장은 “정부의 맞춤형 보육에 반대하는 부모들도 있고, 오늘과 내일 진행하는 자율등원에도 동참해 주고 있다”며 “교사들은 모두 정상 출근했고, 등원한 아이들을 위해 모든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맞춤형 보육이 시행되면 종일반 아이들을 제외하고 보육료가 20% 정도 삭감된다”며 “당장 망하지 않더라도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맞춤형 보육은 0~2세(만 48개월 미만) 영아를 하루 12시간 이용하는 종일반과 하루 6시간 이용하는 맞춤반으로 나누고, 전업주부 등 장시간 이용이 필요 없는 경우는 종일반 이용을 제한하는 제도다. 어린이집에 지원되는 지원금은 맞춤반이 종일반보다 20% 적다.
서울 구로구의 B어린이집 관계자도 “오늘 자율등원을 실시했더니 70% 정도가 나왔고 어린이집은 정상적으로 운영했다”며 “어린이집 운영이 힘들어져 문을 닫아야 하는 경우 아이를 맡긴 부모들에게도 피해가 돌아간다”고 설명했다. 반면 4살 아이를 키우는 이모(36)씨는 “어린이집 운영이 힘들다지만 곳곳마다 사정이 다를 텐데 영세 어린이집에 대형 어린이집까지 숨어서 이익을 보려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며 “지금까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아이들의 교육과 음식에 얼마나 신경을 썼는지도 자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1만여곳의 민간어린이집이 집단 휴원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우려했던 보육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어린이집의 휴원율은 11.7%에 그쳤다. 아예 문을 닫은 어린이집은 없었으며, 자율등원을 실시한 어린이집은 전체 4만 1441곳 가운데 4867곳이었다. 나머지는 정상적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부모들은 정부가 맞춤형 보육을 시행하는 7월이 더 걱정이다. 어린이집 관련 단체들은 정부가 추가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집단 휴원을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두 아이를 키우는 회사원 박모(31·여)씨는 “이번에는 다행히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이 휴원하지 않아서 연차를 쓰지 않았지만 다음달에 장기 휴원을 하면 어떡할지 마음을 졸이고 있다”며 “정부와 어린이집이 싸우는데 불편함은 아이와 부모에게만 돌아간다”고 말했다.
서울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6-2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