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4세 인구 감소·인식 변화 탓
1인가구 증가·저출산현상 맞물려올 1월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 그리고 이혼 건수 모두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혼인을 미루거나 독신으로 사는 미혼자가 늘고, 저출산 현상이 맞물려서다.

혼인 건수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혼인 연령대(25~34세) 인구가 줄었기 때문이다. 올 1월 25~34세 남성과 여성 인구는 지난해보다 각각 2.4%, 3.0% 줄었다. 반드시 결혼해야 한다는 인식이 줄어든 영향도 적지 않다. 지난해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에서 반드시 결혼해야 한다는 응답이 66.2%였던 반면 자녀 세대에 해당하는 에코 세대(1979~1992년생)에서는 49.8%에 그쳤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혼인 건수가 줄어든 가운데 최근 주된 출산 연령대로 여겨지는 30대 초·중반 여성 인구가 줄었기 때문”이라면서 “이혼이 줄어든 것도 혼인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30만 2900건으로 200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편 본격적인 이사철을 맞아 전세난을 피해 서울에서 경기로 떠나는 사람들의 행진도 이어졌다. 통계청이 이날 함께 발표한 ‘2월 국내 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이사한 사람은 70만 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9% 늘었다. 인구로 따지면 지난해 3월 77만 1000명을 기록한 이후 11개월 만에 최고치다. 경기도는 순유입(전입-전출) 인구 9794명으로 지난해 3월부터 12개월 연속 순유입 인구 1위다. 순유출(전출-전입)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로 8211명이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3-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