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탁 성균관대 교수
김 교수는 논문에서 “암환자가 병을 진단받은 뒤 얼마나 편안한 마음을 갖고 암을 대하느냐가 생존기간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진다”면서 “커뮤니케이션을 ‘나와 어떤 대상과의 상호작용’이라고 한다면 암환자도 암 세포와 일종의 상호작용을 하는 셈”이라고 규정했다. 또 “환자가 어떻게 암을 인식해서 편안한 심적 안정을 도모하는 지를 설명 하는 데는 서양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한계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메시지 생산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서양의 기능적 커뮤니케이션 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메시지 수용자의 입장을 강조하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관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암 환자에게서 ‘암=죽음’의 의미도 만들어질 수 있지만(서양의 커뮤니케이션 관) ‘암 세포=내 몸의 일부지만 반갑지 않은 존재’, 심지어 ‘암=내 의지로서 치유할 수 있는 병’의 의미(동아시아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관)까지 만들어낼 수 있다”고 역설했다.
세계커뮤니케이션학회는 모든 형태와 환경의 커뮤니케이션 연구·교육 등을 지원하며 교육, 과학, 문학적 활동에 초점을 맞춰 활동하는 비영리 단체다. 2년 마다 국제 컨벤션을 개최하고 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