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몹쓸 ‘X’의 가벼움…“女비하를 실수로 용인하는 사회가 문제”

[단독] 몹쓸 ‘X’의 가벼움…“女비하를 실수로 용인하는 사회가 문제”

최훈진 기자
입력 2015-07-15 23:06
업데이트 2015-07-16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그맨과 래퍼 등 대중 연예인들이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한 발언이나 노래 가사가 연이어 ‘여성 혐오적 표현’이라는 비판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풍자를 위한 개그 혹은 문화적 소재에 대해 과민 반응하는 것이라는 인식부터 표현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반론을 펴는 시각도 있다.

전문가들은 1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 특정 집단을 차별하고 공격하는 발언은 표현의 자유로 인정될 수 없다”는 견해를 한목소리로 내놓았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최근 논란이 된 랩 가사 등에 대해 “해당 발언이나 노래 가사를 보면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담고 있는 메시지 모두 정상적이지 않다”고 우려했다. 그는 “개그, 음악이라고 해도 상식선을 넘은 약자에 대한 공격이나 폭력에 가까운 표현들을 ‘표현의 자유’로 관용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성차별적 발상이 사회적으로 용인돼 왔기 때문에 이런 표현들이 대중화되는 것”이라며 “머릿속은 개인 자유의 영역이지만 방송이나 공공장소에서 (여성) 혐오적 언사를 내뱉는 것은 타인에 대한 공격으로 봐야 한다”고 단언했다.

여성 혐오를 실수로 쉽게 용인하는 사회적 인식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배은경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 혐오라는 개념은 단순히 ‘여자를 싫어한다’는 의미만을 담고 있는 게 아니다”라고 규정했다.

배 교수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여성을 성적인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문화적 코드들을 총칭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엄연한 여성 혐오적 발언들을 ‘별것 아닌 실수’로 용인하는 태도 자체가 우리 사회에 뿌리 깊이 박혀 있는 남성 중심적 문화의 현주소”라고 진단했다.

익명성과 대중적 전파력이 큰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매체의 힘이 여성 혐오를 확산하고 일상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설 교수는 “과거 사적(私的) 영역에서 오갔던 대화가 불특정 다수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노출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배 교수는 “사적 영역의 대화 소재가 팟캐스트나 단체 카톡방 등에서 자기 규제를 거치지 않고 발설되고 있으며 남성성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공공연하게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평론가는 “하위 문화가 주류(메인스트림) 문화로 전이되고, 주목받는 아이돌과 개그맨 등의 입을 통해 나오다 보니 여성 혐오가 이슈로 자리잡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7-16 3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