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트라우마부터… 경제력은 그다음 문제”

“탈북민, 트라우마부터… 경제력은 그다음 문제”

최선을 기자
입력 2015-04-03 00:18
업데이트 2015-05-27 1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북민 첫 상담학 박사 유혜란씨

“탈북민이 한국에 적응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은 북한 체제에 대한 트라우마에 있습니다. 경제적 문제는 오히려 부수적이에요.”

탈북민 첫 상담학 박사 유혜란(51·여)씨는 “불안과 공포로 가득한 북한 체제에서 온 탈북민들은 세상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일종의 정신장애에 시달리기 쉽다”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높은 자살률과 범죄율을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씨는 평양에서 태어나 경성의대를 졸업한 뒤 의사로 6년을 일했다. 북한 사회에서는 나름대로 선택받은 삶을 살았던 셈이다.

그런데도 탈북을 결심한 건 대학교수로 재직하던 삼촌이 정치범으로 체포되고 유씨 가족들까지 지방으로 추방되는 과정에서 체제에 대한 환멸을 느꼈기 때문이다. 1998년 남편, 두 딸과 함께 그는 힘겹게 두만강을 건넜고, 중국을 거쳐 한국땅을 밟았다. 서울에 도착한 첫날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고 했다. 그는 “보슬비가 내리는 밤거리에 차들이 물결을 이루는 모습을 보고 어떻게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에서 가능한 일인가 싶었다”고 회상했다.

2002년 한신대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2013년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에서 ‘탈북민들을 통하여 본 북한체제-트라우마 불안’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씨는 자신이 한국에서 만난 탈북민들은 대부분 이질적인 체제에 적응하는 데 따른 어려움뿐 아니라 북한 체제에 대한 트라우마로 힘들어한다고 설명했다.

‘북한 체제 트라우마’란 말은 유씨가 박사 논문에서 처음 쓴 표현이다. 그는 “예측불가하고 신뢰할 수 없는 국가인 북한은 조작된 공포로 주민에게 두려움을 갖게 한다”면서 “부부 사이라도 정치적 문제는 솔직하게 말할 수 없는 환경이었기 때문에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오더라도 왜곡된 대인관계를 갖기 쉽다”고 설명했다.

유씨는 2013년 서울 강서구에 ‘북한체제 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를 열었다. 대인기피와 불안에 시달리는 탈북민이 하루에도 여러명씩 센터를 찾아 상담을 받는다. 유씨는 트라우마의 대표적 증상으로 편집증 성향을 들었다. 그는 “타인에 대한 의심이 일상화된 삶을 살아온 탓에 일단 부정적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면서 “상대가 선의로 다가와도 ‘왜 나한테 잘해 주지?’란 생각을 먼저 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씨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 트라우마 치유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상담받으러 오면 일단 문제가 된 상황과 자신을 분리시키는 작업을 한다”면서 “꾸준히 치유프로그램에 참가시키기 위해 소그룹을 맺어 집단 상담을 받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탈춤을 추며 불안, 슬픔, 두려움 등의 감정을 털어내는 프로그램도 인기가 좋다. 유씨는 “탈북민들의 정신 상태가 건강해야 통일 과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향후 심리적 통일에 이르는 데 북한 체제 트라우마 치유 사업이 큰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04-03 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