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한 무효표, 초박빙 부산시장 선거에 큰 영향

급증한 무효표, 초박빙 부산시장 선거에 큰 영향

입력 2014-06-05 00:00
업데이트 2014-06-05 1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만4천여표, 4년 전보다 3만3천여표 늘어…후보간 표 차의 2.6배

이번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유난히 무효표가 많이 나왔다.

최종 개표결과 무효표는 2010년 선거(2만54표)보다 무려 3만3천962표가 늘어난 5만4천16표로 집계됐다.

이는 1995년 동시 지방선거가 시작된 후 20년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투표자가 310여만 명이나 많은 서울시장 선거의 무효표(4만4천여 표)보다도 1만표가량 많은 수치다.

그동안 부산시장 선거의 무효표는 1회 동시 선거때 3만8천14표를 기록한 이후 지난 선거까지 1만2천873∼2만1천413표를 유지해왔다.

무효표 5만4천16표는 초박빙 승부를 펼친 부산시장 선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게 지역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특히 전체 무효표가 새누리당 서병수 당선인과 무소속 오거돈 후보간 표차(2만701표)의 2.6배나 된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사전투표 하루 전에 사퇴한 통합진보당 고창권 후보와 연관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투표자 수가 거의 같은 부산시교육감 선거의 무효표는 2010년 선거(5만398표)보다 8천300여 표 증가하는 데 그쳤는데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3만3천900여 표나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 후보의 공식 사퇴는 지난달 30일 사전투표를 시작한 지 한나절 후에나 이뤄져 투표용지에 ‘사퇴’라는 표시가 없었고, 투표소에도 안내문이 늦게 붙었다.

또 관련 규정에 따라 부산 이외 지역에 있는 사전투표소에는 아예 안내문이 붙지 않았다.

상당수 유권자가 고 후보의 사퇴사실을 모른 채 투표해 무효 처리된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5일 “정확한 통계를 내지는 않았지만, 고창권 후보에게 투표해 무효처리된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 후보를 지지하던 진보 성향 유권자 일부가 오거돈 후보를 지지하지 않고 새로운 부동층이 돼 ‘무효’로 의사를 표현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어쨌든 무효표 급증은 한 표가 아쉬운 오 후보에게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 후보 캠프 일각에서는 무효표 폭증에 의구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