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개발 피해자 증언대회 키워드

개발 피해자 증언대회 키워드

입력 2013-01-18 00:00
업데이트 2013-01-1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터, 공포, 공백

“우리를 꽁꽁 묶은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 나가서도 살 수가 없다.”

철거로 생활 터전이 파괴되고 멈춰진 개발로 오갈 데가 없어진 철거민들은 자신의 상황을 이렇게 표현했다. 막무가내 철거로 터전을 잃은 이들이 개발 중단과 조합 해체 등으로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에 내몰렸다는 하소연이다. 용산참사 4주기를 앞두고 17일 국회에서 열린 ‘개발지역 피해자 증언대회’에 참여한 철거민들은 ‘제2의 용산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윤’이 아닌 ‘사람’을 중심에 둔 개발정책으로의 전면적인 전환을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용산 참사 4주기를 사흘 앞둔 17일 서울 용산구 한강로 남일당 건물 터. 2009년 1월 20일 재개발에 반대하는 철거민과 경찰이 망루에서 대치하다 화재가 발생해 6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금은 철거 용역업체 관계자들의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용산 참사 4주기를 사흘 앞둔 17일 서울 용산구 한강로 남일당 건물 터. 2009년 1월 20일 재개발에 반대하는 철거민과 경찰이 망루에서 대치하다 화재가 발생해 6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금은 철거 용역업체 관계자들의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철거 이후 시공사의 부도로 개발이 중단된 경기 김포 ‘신곡마을’ 철거민 조규승씨는 재개발과 관련된 꿈만 꾼다고 했다. 이곳은 80여 가구와 다양한 공장이 자리 잡았던 곳이지만 철거로 밤이 되면 가로등 빛 하나 변변치 않은 어둡고 황량한 곳이 됐다. 쓰레기를 버리러 오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고 찾아오는 사람들까지 있지만 이주 대책이 없어 아직도 이곳에 살고 있다. 그는 “시행사는 부도나고 조합은 해체되고, 누굴 상대로 싸워야 할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서울 서초구 내곡동 헌인마을과 경기 부천 중3동 철거민들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헌인마을에는 고급 주택단지가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시행대행사의 자금난으로 개발이 진행되지 않고 있고, 부천 중3동도 언제 공사가 재개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헌인마을 철거민 김상철씨는 “안 팔린 건물을 재임대해서 조금씩 영업을 하고 있지만, 예전과 지금의 영업은 천지차이”라며 “우리 일이 해결되기 전까진 지역을 떠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머무르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마을에 사는 철거민 강모씨는 현재 자신의 상황에 대해 “인생의 공백기가 생긴 것 같다”고 표현했다. 철거로 인해 삶이 송두리째 뽑혔다고도 했다.

김명희씨는 부천 중3동에서 15년을 세입자로 살았다. 집주인하고도 ‘언니, 동생’하며 잘 지냈는데 조합에서 떠나라며 집주인을 압박하고, 집주인은 김씨를 종용하면서 하루아침에 ‘원수’가 됐다. 김씨는 “철거를 해 공터로 남길 것이었으면 왜 이런 개발을 할까 답답하다”며 “(개발자들도) 이익이 극대화될 시기를 보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러면 우리를 그렇게 무참하게 쫓아내진 않아도 됐던 것 아니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는 이곳에서 중국 음식점을 운영했지만 “지금은 다시 가게를 하기에 어려운 상황이다. 용기를 잃어버렸다”고 말했다. 급하게 철거를 진행했지만 개발은 이뤄지지 않고 공터가 된 곳에 남은 이들은 “어느 하나 신경 써주는 사람은 없고 관청은 책임 회피만 한다”고 울분을 삼켰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1-18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