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산사고 피해지역 대부분 경제자유구역…수자원공사 ‘무계획’지자체·주민 “서둘러야”…정부 대책회의
경북 구미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계기로 구미 경제자유구역 개발이 촉진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정부는 2008년 구미시 산동면 봉산·임천리와 금전동 470만㎡에 1조3천40억원을 들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중 하나인 구미디지털산업지구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봉산리와 임천리는 지난 9월27일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으로 구미 경제자유구역 절반이 넘는 247만㎡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 시행자인 한국수자원공사는 2006년 12월 이곳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고, 2008년 4월 경제자유구역으로 결정된 이후 현재까지 편입토지를 수용하지 못했다.
수자원공사는 4대강 사업 추진 등으로 자금 여력이 없는데다 불경기로 분양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 구체적인 착수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수자원공사가 토지보상을 약속한 2010년이후 2년 이상 지났음에도 아무런 진척이 없자 주민들은 재산권을 침해당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구미디지털산업지구의 진척이 없어 수자원공사의 사업시행자 자격을 취소할 수 있음에도 다른 사업시행자를 구하기 어려워 지켜보고만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9월27일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산동면 봉산리와 임천리 주민들이 피해를 봐 반발은 더 거세지고 있다.
주민들은 사고를 계기로 답보 상태인 구미디지털산업지구의 조성을 조속히 추진해 토지 보상과 이주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경북도와 구미시도 불산사고 피해보상과 디지털산업지구 보상을 동시에 추진하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민원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김관용 경북지사와 남유진 구미시장은 지난달 30일 김황식 국무총리를 만난 데 이어 8일에도 경북도와 구미시 관계자가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열린 차관회의에서 구미디지털산업지구의 조속한 추진을 건의했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정부는 수자원공사가 회사채를 발행할 때 국고에서 이자를 지원하는 등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구미공단의 산업용지 수요분석 결과 산업용지에 대한 충분한 수요가 있는 만큼 신속하게 경제자유구역 사업을 착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