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초비상’

광주·전남 ‘초비상’

입력 2012-08-27 00:00
수정 2012-08-27 14: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주·전남 전역 태풍특보재난 당국 비상 점검, 휴교 여부 학교장 재량

초강력 태풍 볼라벤(BOLAVEN)이 북상하면서 광주·전남 재난 당국과 시민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광주지방기상청은 27일 오후 4시를 기해 고흥, 보성, 여수, 광양, 순천, 장흥, 강진, 해남, 완도, 진도 등 남해안 인근 전남 10개 시·군의 태풍주의보를 태풍경보로 대치했다.

기상청은 전남 동·서부 남해 앞바다와 남해 서부 먼바다의 태풍주의보를 태풍경보로 대치했다.

기상청은 또 오후 3시를 기해 전남 나머지 12개 시·군과 광주에 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같은 시각 전남 북·중·남부 서해 앞바다에도 태풍주의보가 내려져 내륙과 해상을 포함해 광주·전남 전역에 태풍특보가 발효된다.

목포 21개 항로 33척, 여수 16개 항로 24척, 완도 13개 항로 23척 등 전남 50개 항로 80척의 여객선 운항이 전면 통제됐다.

◇자치단체·해경·주민 ‘한마음’ = 전남도는 휴일인 지난 24일 태풍 대비 도지사 특별지시 1호를 발령했다.

박준영 전남지사는 인명피해 최소화, 피해 위험시설 관리 철저, 공무원 비상근무, 시군 현황 점검 등을 지시했다.

도는 산사태 위험 지역(13곳), 급경사지(1천290곳), 재해위험지구(195곳)와 축대·옹벽 붕괴, 절개지 낙석 우려가 있는 곳을 일제 점검했다.

도는 범람 우려가 있는 농·배수로를 점검하고 비닐하우스, 노후 축사, 수산 증·양식시설에 대한 보강작업도 유도했다.

목포·여수·완도 해경은 해상교통 문자방송(NANTEX), 해상교통관제(VTS) 방송 등으로 항해하는 선박에 태풍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해경은 출항한 어선을 안전한 해역으로 대피시키고 여객선 통제, 갯바위와 방파제 등 위험지역 순찰도 강화했다.

◇행사 취소·연기, 휴교 여부는 학교장이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8일 오룡관에서 열기로 한 ‘제2회 과학기술인과 함께 하는 필통(必通)톡(Talk)’ 행사를 연기했다.

이 행사에는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전문가들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태풍의 진로 등을 파악하느라 발등에 불이 떨어진 광주지방기상청도 같은 날 예정된 기후변화와 지역경제포럼을 연기했다.

지난 25일 전남도가 연 대한민국 산림박람회도 3일 앞당겨 26일 폐막했다.

이밖에 목포시 주민자치위원장 협의회 회의, 신안군수의 작은 섬 방문, 해남군 다문화 가족 유적지 탐방 등 자치단체 행사도 태풍피해 예방활동 등을 이유로 연기 또는 취소됐다.

전남도 교육청은 초·중·고교의 휴교 여부를 학교장 재량에 맡기기로 했다.

광주시교육청은 휴업 여부를 특별히 결정하지 않았다.

◇여수·가거도 “또 한번 악몽은 없어야” = 2003년 태풍 ‘매미’로 7명이 숨지고 2천억원의 재산피해가 난 여수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특히 이 지역에는 지난 23~24일 300㎜의 집중호우로 침수사태를 빚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최근 폐막한 여수박람회장은 초속 40m의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볼라벤의 위력이 이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굴지의 석유화학기업이 밀집한 여수국가산단 기업들도 침수, 정전에 대비해 전기시설 점검, 도로변 정비 등에 온힘을 쏟고 있다.

지난해 태풍 ‘무이파’로 방파제 480m 가운데 220m가 심하게 파손된 국토 서남단 가거도 주민의 불안감도 이에 못지 않다.

주민들은 해수 유입을 막으려고 모래 포대 등으로 임시 벽을 쌓는가 하면 음식점 등은 물을 가득 담은 대형 물통을 설치해 강풍에 대비했다.

박원호 신안군 가거도출장소장은 “이번 태풍이 강력한데다 무이파와 진로도 비슷해 주민 모두 크게 긴장하고 있다”며 “모든 조처는 다 했고 하늘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태풍 진로는? = 이날 정오 현재 볼라벤은 서귀포 남쪽 약 460㎞ 해상에서 시속 34㎞의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다.

현재 중심기압 940헥토파스칼(hPa)로 새벽보다 다소 약해졌지만 중심부에서는 여전히 최대풍속 초속 50m 안팎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볼라벤은 이날 오후 9시 서귀포 남남서쪽 240㎞ 해상을 거쳐 28일 오전 9시에는 목포 서쪽 90㎞ 부근 해상으로 접근할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북상하는 동안 세력이 조금씩 약해지겠지만 중심기압 최대 950∼960hPa, 최대풍속은 초속 40m 안팎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완도, 진도, 목포, 영광 등 서해안 지역은 만조위와 겹쳐 해안가 침수, 너울성 파도 등의 피해가 우려된다.

기상청의 한 관계자는 “광주·전남에는 밤부터 남해안에 비가 시작돼 28일까지 100∼200㎜, 남해안과 지리산 부근 등 많은 곳은 300㎜ 이상 내릴 것”이라며 “강풍과 호우 피해가 모두 예상되니 앞으로 발표되는 태풍정보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sangwon700@yna.co.kr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