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가 26일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가운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이 반대 투쟁을 예고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오전 전국 1만1천144개 초중고에서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교 2학년 전체 180만명을 대상으로 올해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초 6과 고2 학생은 국어ㆍ영어ㆍ수학 등 3개 과목, 중3 학생은 국어ㆍ영어ㆍ수학ㆍ과학ㆍ사회 등 5개 과목 시험을 본다.
학업성취도평가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국가가 제시하는 성취수준에 도달했는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고 기초학습 미달학생을 줄이기 위해 2008년부터 5년째 시행되고 있다.
학생을 대상으로는 우수학력-보통학력-기초학력-기초학력 미달 등 4가지 성취 수준을 측정해 9월 중 성적을 통지한다.
학교에 대해서는 응시현황과 교과목별 성취 수준 비율을 3단계(기초미달-기초-보통이상)로 구분, 학교정보공개사이트인 ‘학교알리미’에 공시한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고교가 학생을 얼마나 잘 가르쳐 성적을 올렸는지를 평가한 학교향상도를 공개한데 이어 올해는 중학교의 학교향상도도 공개한다.
올해는 특성화고에 직업기초능력평가가 도입되므로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는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은 “일제고사식 학업성취도평가는 교육현장의 성적 지상주의를 부추기고, 교육청과 학교를 서열화하고 차등예산을 지원해 교사들을 무한 경쟁으로 내몬다”며 반대하고 있다.
전교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학업성취도평가를 앞둔 각급 학교의 0교시 등교, 심야학습, 휴일 등교 등 파행준비 사례를 소개하고 “일제고사는 폐지하고 3∼5%를 대상으로 하는 표집고사로 전환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기자회견에서 “교과부가 최근 마련한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강제하는 시행령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전교조는 학업성취도평가 당일인 26일 오전 조합원이 검은옷입기, 일제고사 반대 표지판 책상 부착, 교문 앞 일인시위 등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오후에는 교과부와 교육청에 집결해 결의대회를 하겠다고 예고했다.
또 서울과 경기, 인천, 충북지역 일부 학생들은 일제고사 반대시민 모임 주관으로 학업성취도평가를 보는 대신 서울 북촌한옥마을에 모여 체험학습을 하고, 전남지역 20여명은 장흥군 우산지렁이생태학습장에서 체험학습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교과부와 지역 시도교육청에 일제고사 폐지 및 농산어촌학교 살리기를 요구하는 1만명 민원제출 운동에도 나선다.
교과부는 “교사 개인 차원에서 평가를 거부하거나 거부를 유도하는 경우는 시도교육청이 사안의 경중을 파악해 징계 절차에 따라 조치토록 할 방침이며, 기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기관 경고나 개인 징계 등을 조치한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연합뉴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오전 전국 1만1천144개 초중고에서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교 2학년 전체 180만명을 대상으로 올해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초 6과 고2 학생은 국어ㆍ영어ㆍ수학 등 3개 과목, 중3 학생은 국어ㆍ영어ㆍ수학ㆍ과학ㆍ사회 등 5개 과목 시험을 본다.
학업성취도평가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국가가 제시하는 성취수준에 도달했는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고 기초학습 미달학생을 줄이기 위해 2008년부터 5년째 시행되고 있다.
학생을 대상으로는 우수학력-보통학력-기초학력-기초학력 미달 등 4가지 성취 수준을 측정해 9월 중 성적을 통지한다.
학교에 대해서는 응시현황과 교과목별 성취 수준 비율을 3단계(기초미달-기초-보통이상)로 구분, 학교정보공개사이트인 ‘학교알리미’에 공시한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고교가 학생을 얼마나 잘 가르쳐 성적을 올렸는지를 평가한 학교향상도를 공개한데 이어 올해는 중학교의 학교향상도도 공개한다.
올해는 특성화고에 직업기초능력평가가 도입되므로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는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은 “일제고사식 학업성취도평가는 교육현장의 성적 지상주의를 부추기고, 교육청과 학교를 서열화하고 차등예산을 지원해 교사들을 무한 경쟁으로 내몬다”며 반대하고 있다.
전교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학업성취도평가를 앞둔 각급 학교의 0교시 등교, 심야학습, 휴일 등교 등 파행준비 사례를 소개하고 “일제고사는 폐지하고 3∼5%를 대상으로 하는 표집고사로 전환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기자회견에서 “교과부가 최근 마련한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강제하는 시행령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전교조는 학업성취도평가 당일인 26일 오전 조합원이 검은옷입기, 일제고사 반대 표지판 책상 부착, 교문 앞 일인시위 등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오후에는 교과부와 교육청에 집결해 결의대회를 하겠다고 예고했다.
또 서울과 경기, 인천, 충북지역 일부 학생들은 일제고사 반대시민 모임 주관으로 학업성취도평가를 보는 대신 서울 북촌한옥마을에 모여 체험학습을 하고, 전남지역 20여명은 장흥군 우산지렁이생태학습장에서 체험학습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교과부와 지역 시도교육청에 일제고사 폐지 및 농산어촌학교 살리기를 요구하는 1만명 민원제출 운동에도 나선다.
교과부는 “교사 개인 차원에서 평가를 거부하거나 거부를 유도하는 경우는 시도교육청이 사안의 경중을 파악해 징계 절차에 따라 조치토록 할 방침이며, 기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기관 경고나 개인 징계 등을 조치한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