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감사… 부품 관리·시운전 엉망
KTX산천이 차량 도입부터 졸속으로 진행돼 ‘사고철’이 될 수밖에 없었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왔다. 부품 관리, 정비 시설 등 사고예방을 위한 사전정비 체계도 총체적으로 부실했다는 지적이다.27일 감사원은 지난해 8~9월 실시한 ‘KTX 운영 및 안전관리실태’ 감사 결과를 공개했다.
감사 결과, 한국철도공사는 KTX산천을 서둘러 도입하면서 차량 결함을 발견하고서도 그대로 운행에 투입했다.
감사원은 “운전석의 신호화면이 꺼지는 ‘블랙스크린’ 등 정상운행을 방해하는 57건의 결함이 보완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차량 탈선이나 전복 등 안전문제를 초래하지는 않는다는 이유로 차량을 그대로 인수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산천은 2010년 4월 블랙스크린 현상으로 열차가 멈춰서는 등 2010년 3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모두 688건의 크고 작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차량 도입까지의 준비과정도 턱없이 부실했다. 철도공사는 신규 고속차량 제작기간을 36개월로 짧게 정해 구매계약한데다 차량 길들이기 시운전도 최대 1만 2000㎞에 불과했다. 프랑스 TGV가 제작기간 5년에 시운전 수행거리 20만㎞인 데 비하면 준비가 크게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기계장치나 부품 관리도 엉성했다. 고압장치 등 5개 동력계통 장치를 점검한 결과, 차량 제작사의 경험 부족과 충분한 기술검토 미흡에 따른 결함·장애요인은 31건이나 발견됐다. 감사원은 “감사 당시 336개 품목의 부품은 재고가 하나도 없었던 반면 1875개 품목은 적정 재고량의 2배가 넘었다.”고 말했다.
감사원은 철도공사가 KTX1 정비를 위한 일부 부품을 수의계약으로 구매하면서 정당 가격보다 최대 32배나 부풀려진 세금계산서를 근거로 50억여원을 부당 지급한 비위사실도 적발했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2-04-2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