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년 만의 한파로 전국이 꽁꽁 얼면서 전력 수급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2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전력 수요가 이날 오전 11시 7383만㎾(최대 공급 능력 7943만㎾·예비율 7%)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시간당 최대 전력 수요치였던 지난해 1월 17일의 7314만㎾를 69만㎾ 넘어선 것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경부는 시간당 최대 전력 수요치가 경신됐지만 전력 수요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예비 전력 수준인 500만㎾ 이상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전력 당국은 사전 계약을 맺은 320개의 대규모 산업체가 조업 일정을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긴급 사용 전력 감축을 추진해 100만㎾의 예비력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피크 시간 동안 1만 4000개의 산업체와 건물들이 전년 전력 사용량 대비 10%를 감축해 300만㎾의 예비력을 확보한 상태다. 조석 지경부 2차관은 “다시 피크가 온다 하더라도 (예비력은) 500만㎾ 이상을 유지할 것이어서 수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매뉴얼에 들어 있지는 않지만 상황에 따라서 추가적인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산업체는 정부의 강제 절전 시행으로 생산 차질을 빚지나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2-0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