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회 서울대 교수팀, 에모리대 의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은 병리학과 박성회 교수팀의 ‘돼지 인슐린 분비세포를 이용해 당뇨병에 걸린 원숭이를 치료한 연구’를 검증한 미국 에모리대 연구팀으로부터 결과가 성공적이었다는 검증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박성회 교수
●이식 원숭이 6개월 이상 건강하게 생존
앞서 박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10월 돼지 췌도(랑게르한스섬)를 이식한 당뇨병 원숭이가 거부반응 없이 6개월 이상 건강하게 생존함으로써 당뇨병의 완치 가능성을 열었다고 발표했다.
검증작업은 박 교수 팀이 일부에서 제기된 연구의 실효성 문제를 불식하기 위해 에모리대에 의뢰해 이뤄졌다. 에모리대는 미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영장류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대학 소속 커크 교수와 라센 교수는 영장류에서 돼지췌도 이식 연구를 주도하는 최고의 전문가이다.
연구팀은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지난해 9월 26일 커크 교수 등 두 명의 미국 측 전문가가 입회한 가운데 돼지 췌도를 이식한 원숭이 세 마리의 혈청을 채취, 에모리대 연구팀에 혈청 내 인슐린 C펩타이드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했다. 혈청 채취 후 에모리대학까지의 이송 및 검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의 진실성을 담보하기 위해 정부 관계자도 참여해 이를 지켜봤다.
●정부 관계자도 검증작업 참여
에모리대 연구팀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원숭이 세 마리의 혈청 내 돼지 인슐린 C펩타이드 농도는 각각 1.40ng/㎖, 3.10ng/㎖, 1.92ng/㎖였다.
일반적으로 혈청 내 돼지 인슐린 C펩타이드의 농도가 0.4ng/㎖이면 당뇨병 원숭이의 혈당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원숭이 체내에서 충분한 양의 돼지췌도가 기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 교수는 “국내외 학계에서는 에모리대의 검증을 통해 돼지 췌도이식 프로토콜의 임상시험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1-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