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1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상식] “패기만만 젊은 문학의 집 짓기를…”

[2011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상식] “패기만만 젊은 문학의 집 짓기를…”

입력 2011-01-18 00:00
업데이트 2015-04-30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배님이 쓰셨던 등단작품 재미나게 잘 읽었어요. 다른 작품들도 읽고 싶어요. 소설집이건 장편이건 얼른 내세요.”(2011 소설 당선자 차현지)

“아우, 왜 그래. 나야말로 ‘미치’ 읽고 놀랐잖아. 소재도, 감성도 파격적이에요. 벌써부터 현지씨 다른 작품 읽어 보고 싶은데….”(2009 소설 당선자 진보경)

떠들썩한 식사 자리는 차로, 술로 계속 이어졌다. 심사위원, 선배 문인, 당선자들의 이야기꽃도 시들 줄 모르고 계속 피어나기만 했다.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1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상식’에서 이동화 서울신문 사장과 당선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동화 부문 이현숙, 시 강정애, 희곡 오세혁, 이 사장, 시조 성국희, 소설 차현지, 평론 허진 당선자.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17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1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상식’에서 이동화 서울신문 사장과 당선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동화 부문 이현숙, 시 강정애, 희곡 오세혁, 이 사장, 시조 성국희, 소설 차현지, 평론 허진 당선자.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선후배들 밤늦게까지 이야기꽃

17일 서울 광화문 한 식당에서 열린 2011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상식 뒤풀이에서 소설가 진보경(39)씨와 후배 당선자 차현지(24)씨가 도란도란 나눈 얘기다. 소설을 비롯해 시(강정애), 희곡(오세혁), 평론(허진), 시조(성국희), 동화(이현숙) 등 6개 부문 당선자들과 함께 각 부문 심사위원, 선배 당선자들도 함께했다.

첫 만남과 인사만 어색할 뿐 이미 후배는 선배의 숱한 작품을 따라 읽고 썼으니 충분히 익숙해졌고, 선배들 또한 갓 등단한 후배의 작품을 흥미롭게 봤으니 낯설 이유가 없었다. 점심식사를 함께 하며 시작된 자리는 올겨울 들어 최대 한파라는 날씨도 무색하게 저녁까지 이어졌다.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상식에서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마냥 왁자지껄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뒤풀이에 앞서 이동화 서울신문 사장, 이목희 편집국장, 장윤우 서우회(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문인들의 모임)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시상식에서는 당선자들의 풋풋하지만 진지한 포부와 심사위원들의 매섭지만 따뜻한 주문이 어우러졌다.

평론 부문 심사를 맡은 황현산 고려대 명예교수는 “서울신문은 신춘문예가 특히 강해 평론, 시, 소설 가릴 것 없이 주목받는 신인들을 배출하고 있다.”면서 “그들이 더욱 강할 수 있는 것은 패기만만함이었던 만큼 그 덕목 속에서 또 다른 일가를 이뤄 내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소설 부문 심사를 맡은 은희경 소설가도 “(좋은 응모작이 많아) 그 어느 해보다 심사가 즐거웠다.”며 각 분야 당선자들의 정진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시 당선자 강정애(52)씨는 “젊은 시의 집을 짓고 싶다.”면서 “선배들이 이미 내놓은 길 사이로 조그만 나의 길을 내보려 한다.”고 새내기 시인답지 않은 당찬 포부를 밝혔다. 동화 부문 당선자 이현숙(39)씨는 “신춘문예에서 드러난 부족한 부분, 못난 부분은 다듬어서 작품으로 얘기하겠다.”고 말했다.

평론 당선자 허진(28)씨는 인기 만화가 허영만 화백, 허형만 시인(목포대 교수), 허경만 전 전남지사가 집안의 가까운 어른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화제를 모았다. 세 사람은 시상식장에 직접 나와 허 당선자를 축하해 줬다. 희곡에 당선된 오세혁(30)씨는 부산일보 신춘문예에도 함께 당선돼 ‘다관왕’이 사라진 시대에 부러움과 질시의 시선을 한몸에 받았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1-18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