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13일 치러지는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비례대표 의석수는 총 의석 300석 가운데 47석이다. 이는 19대 총선 때 54석보다 7석이 줄어든 것으로, 지역구는 그 만큼 늘어나 253석이 되었다.
이미지 확대
굳은 얼굴로 국회 나서는 김종인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23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본청을 나서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비대위 대표직을 유지하고 비례 2번도 받아들이겠다고 밝혀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굳은 얼굴로 국회 나서는 김종인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23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본청을 나서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비대위 대표직을 유지하고 비례 2번도 받아들이겠다고 밝혀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비례대표의석은 정당 지지율에 따라 배분한다. 선거 당일 투표소에 가면 투표용지를 두 장 받는다. 하나는 지역구 의원을 뽑는 용지이고, 나머지 하나는 지지하는 정당을 찍게 돼 있다. 지지 정당을 선택하는 것은 해당 정당이 제시한 비례대표를 뽑겠다는 뜻이다.
정당 지지율이 3% 이상이거나 지역구 의석을 5석 이상 확보해야 비례 의석을 받는다. 이 자격에 미달한 정당의 지지율은 47석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고, 해당 기준을 충족한 정당이 얻은 득표 비율에 따라 의석수를 할당한다.
예를 들어 최근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40%대 초반, 더민주당은 20%대 후반을 나타내고 있는데, 오는 총선에서 실제 이 같은 지지율을 기록한다고 가정해보자. 새누리당은 비례 순번 20번대 초반, 더민주당은 10번대 초중반까지가 당선 안정권이 된다고 예상할 수 있다.
더민주당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비례대표 셀프 공천’에서 비롯된 당의 혼란도 따지고 보면, 비례대표 순위를 싸고 벌어진 친노·운동권 대 김종인의 노선 수정파 간의 세력 다툼이라고도 볼 수 있다. 김 대표가 계속 거취에 관해 숙고를 하는 것도 김 대표가 제시했던 전문가 그룹 위주의 비례대표 명단을 당 중앙위가 투표로 수정, A그룹(1~10위)명단에 있던 인사 중 김 대표를 제외한 4명이 비례대표에서 탈락하거나 당선안정권(15번) 바깥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다.
<온라인뉴스부 총선취재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