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 전술무인공격기 계열명 첫 등장
“AI 기술 급속 발전에 힘 쏟으라” 지시

북한 김정은, 전술무인공격기 성능시험 지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2025.9.19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폭 무인공격기 성능 시험을 참관하는 등 무인무장 기술의 고도화를 주문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김 위원장이 전날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전략 및 전술무인정찰기, 다목적 무인기들을 비롯한 각종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요해(파악)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이날 진행된 시험에서는 무인전략정찰기의 군사 전략적 가치와 혁신적인 성능 그리고 ‘금성’ 계열 전술무인공격기들의 우수한 전투적 효과성이 뚜렷이 입증되었다”며 “김정은 동지께서는 시험 결과에 커다란 만족을 표시하셨다”고 보도했다.
앞서 무인기 새별(샛별) 계열의 ‘샛별-4’, ‘샛별-9’ 등의 이름은 공개된 적 있지만 북한 매체에서 ‘금성’이라는 전술무인공격기 계열명이 등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공개된 성능시험 사진에는 두 종류의 자폭형 무인공격기가 목표물을 타격해 폭발하는 모습이 담겼다.
가오리형 날개 기종은 이스라엘제 자폭형 무인공격기 ‘하롭(HAROP)’과, 십자형 날개 기종은 러시아제 ‘란쳇(Lancet)-3’ 또는 이스라엘 ‘히어로(HERO) 30’과 각각 외형이 비슷하다.

북한 김정은, 전술무인공격기 성능시험 지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2025.9.19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해 8월과 11월에도 이들 기종의 자폭형 무인공격기 성능시험을 했다.
김 위원장은 “현대전에서 무인 장비들의 이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주되는 군사 화동 자산으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은 이 분야의 핵심 기술 고도화와 무인무장 장비 체계들의 인공지능 및 작전 능력 고도화를 우리 무력 현대화 건설에서의 최우선적인 중요 과제로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새로 도입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급속히 발전시키는 데 ‘선차적인 힘’을 쏟으라며 “무인기들의 계열 생산능력을 확대 강화하는 데서 나서는 대책적 문제들”을 제시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날 성능시험에는 북한판 ‘글로벌호크’로 불리는 전략무인정찰기 ‘샛별-4형’도 등장했다. 북한은 앞서 무장장비전시회와 열병식 등을 통해 ‘샛별-4형’과 함께 ‘북한판 리퍼’라 불리는 무인공격기 ‘샛별-9형’을 공개해 왔다.
김 위원장은 또 “무인항공기술연합체의 기술적 잠재성을 더욱 확대 강화하기 위한 조직기구적 대책이 반영된 중요계획 문건을 승인하고 비준”했다.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진행될 9차 당대회에서 공개될 차기 국방력 발전 계획에 담길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지난해부터 AI 드론 개발을 가속화하며 러시아의 기술 이전과 우크라이나 전쟁 경험을 활용하고 있다”며 “저비용 고효율로 자율적인 작전 능력이 가능하며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AI 기술이 적용된 드론으로 위협을 키우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성능시험 지도에는 리병철 당 중앙위원회 군수정책담당 총고문을 비롯한 당 간부들과 국방과학 연구 부문 관계자들이 수행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