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남정책 변화 감지
우리 민간단체의 접촉 제의에 대해 ‘묵묵부답’이던 북한이 최근 수해 지원과 관련한 개성 접촉에서 “민간 교류와 협력을 재개하자.”며 아주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관계자는 “모니터링 문제만 해결되면 민간단체의 대북지원 요청에 대해 원칙적으로 승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북한의 태도 변화는 비록 우리 민간단체가 수해 지원을 제안한 데 대한 반응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남북한 교류와 접촉 시도에 대한 북측의 태도와는 크게 달라진 것이어서 북측의 대남정책에 모종의 변화가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개성을 방문해 북한 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관계자들과 수해지원 문제를 협의한 강영식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운영위원장은 27일 “북한 민화협 관계자가 ‘현재 남북관계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번 접촉을 계기로 민간의 교류를 재개,꾸준히 협력해 나가자’고 밝혔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현재 긴급하게 보낼 수 있는 것은 밀가루와 의약품 정도라고 설명했더니 북한 민화협 관계자가 ‘감사하다’고 했다.”면서 북측의 태도가 유난히 유화적이고 적극적이었다고 밝혔다. 다른 단체 관계자도 “북측이 이번처럼 적극적으로 나온 적이 없었다.”며 “협의에 임하는 북측 인사들의 태도가 상냥하게 느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게다가 북한은 그동안 예민하게 반응해 왔던 지원 물품 배분의 ‘모니터링’ 문제도 지난해 수준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밝히는 등 상당히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대남기구의 이런 태도 변화는 그만큼 올해 북한의 수해 상황이 심각하다는 사실을 반영할 것일 수 있지만, ‘상부’의 지시 없이는 이들의 태도 변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와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일각에서는 북한에서 점차 제 기능을 회복하고 있는 노동당의 대남 라인이 성과를 얻으려고 우리 민간단체의 인도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응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됐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2012-08-2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