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말’ MB, 연일 대일 고강도 발언… 경축사서 ‘위안부’ 빠른 해결 촉구
이명박(얼굴) 대통령은 14일 “일왕(日王)이 한국 방문을 하고 싶어 하는데 독립운동을 하다 돌아가신 분들을 찾아가서 진심으로 사과할 거면 오라고 했다.”며 일본에 연이어 직격탄을 날렸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충북 청원군에 있는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열린 ‘학교폭력 책임교사 워크숍’ 현장에 들러 한 교사가 독도 방문의 소회를 묻자 “내가 모든 나라에 국빈 방문을 했지만 일본은 안 가고 있다. 일본 국회에서 내 마음대로 하고 싶은 얘기를 하게 하면 가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통석(痛惜)의 염(念)’ 뭐 이런 단어 하나 찾아서 올 거면 올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애석하고 안타깝다.’는 뜻의 통석의 염은 1990년 5월 일본의 아키히토 일왕이 일본을 방문한 노태우 당시 대통령에게 과거사와 관련해 표현한 것이지만, 통상적으로 쓰는 표현이 아니어서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됐다.
이 대통령은 2년 전 일본의 한 TV 프로그램에서 젊은 학생들로부터 ‘과거보다 미래를 향해 간다는데 과거를 잊어버리는 것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답한 내용도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내가 초등학교 다닐 때 주먹을 쓰는 아이가 나를 못살게 굴어 싫었는데 졸업하고 40∼50년 지나 한 모임에서 그 친구가 (나를 만나고) 얼마나 반가워했는지 모른다.”면서 “그러나 머릿속에 ‘저 녀석 나를 못살게 굴던 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의 가해 행위는 용서할 수 있으나 잊지 않는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이 세계 최고의 국가 아니겠느냐. 중국이 커졌다고 하지만 내용적으로 보면 일본이 (세계) 제2강국으로 우리와도 한참 차이가 난다.”면서 “일본이 가해자와 피해자 입장을 잘 이해 못해서 깨우치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2-08-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