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깨끗, 무난… 새 총리 기준은 ‘도덕성’

깨끗, 무난… 새 총리 기준은 ‘도덕성’

입력 2013-01-31 00:00
업데이트 2013-01-3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론 검증·청문회 통과 최우선

새 정부의 총리 인선을 놓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에 이어 김용준 전 총리 후보까지 사실상 ‘퇴짜’를 맞으면서 향후 더 거세질 ‘검증 파고’와 새 정부 출범 일정에 따른 시간적 제약까지 모두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특히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는 박 당선인의 용인술을 감안하면 따져 봐야 할 것은 많은데 이를 충족할 총리 후보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적잖은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여기에 철통 보안과 ‘밀봉 인사’로 상징되는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면서 공식적인 ‘검증 시스템’을 통한 인선이 제대로 진행될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동굴 같은 ‘불통 인수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입기자들이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잇단 비리 의혹으로 국무총리 후보직을 사퇴한 김용준 위원장의 출근을 기다리고 있다. 주차 방지용 바리케이드 구멍으로 들여다본 기자들의 모습이 인수위의 ‘불통’ 이미지를 드러내는 듯하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동굴 같은 ‘불통 인수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입기자들이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잇단 비리 의혹으로 국무총리 후보직을 사퇴한 김용준 위원장의 출근을 기다리고 있다. 주차 방지용 바리케이드 구멍으로 들여다본 기자들의 모습이 인수위의 ‘불통’ 이미지를 드러내는 듯하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현실적으로 박 당선인이 인사청문회 통과와 야당의 협조를 얻을 수 있는 총리 인선을 우선 고려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재산과 병역 문제에서 깨끗하고 야당의 반대가 없는 무난한 인사를 택할 것이라는 얘기다. 앞으로 또 한 차례 총리 후보가 ‘도덕성 논란’에 휩싸이게 되면 새 정부가 출범하기도 전에 ‘내상’을 입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새 정부의 업무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그동안 박 당선인과 호흡을 맞춰 왔던 인사나 때가 덜 묻은 법조인 등이 유력한 총리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박 당선인 측 인사로는 안대희 전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을 비롯해 한광옥 인수위 국민대통합위원장이 거론된다.

새 정부 출범 일정과 2월 임시국회 등 촉박한 일정을 고려하면 이미 검증된 인사를 선호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조무제 전 대법관을 비롯해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등이 또다시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이들은 모두 한 차례 이상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쳤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황식 현 총리의 유임 가능성도 나돌고 있다. 깔끔한 일처리로 무난하게 내각을 이끌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새 부대’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한때 유력 총리 후보로 떠올랐던 김능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총리직 등 어떤 공직 제의도 받은 적이 없으며 제의가 오더라도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또다시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인사 검증과 관련해 박 당선인이 검증 시스템을 활용하거나 검증 태스크포스(TF)팀을 도입할 것인지도 관심을 모은다. 그러나 철통 보안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고위직 인사들의 인재풀로 활용되는 청와대의 인사검증 자료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으로 활동한 이상돈 중앙대 교수는 “인사는 어느 정도는 보안이 중요하지만 예측성이 있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국민적 공감대가 있어야 성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3-01-31 5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