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됐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25.3.8.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사흘째에도 구체적으로 승복을 언급하지 않고 지지층을 향해 메시지를 내놓자 더불어민주당이 강하게 비판했다.
윤 전 대통령은 6일 탄핵 심판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자신을 지지하고 탄핵을 반대해 온 ‘국민변호인단’을 향해 “청년 여러분께서 용기를 잃지 않는 한 우리의 미래는 밝을 것”이라며 “저는 대통령직에서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그는 “청년 여러분, 이 나라의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이라며 “오늘의 현실이 힘들어도 결코 좌절하지 마십시오. 자신감과 용기를 가지십시오”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2월 13일 저녁 청계광장을 가득 메웠던 여러분의 첫 함성을 기억한다”며 “몸은 비록 구치소에서 있었지만, 마음은 여러분 곁에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한 분 한 분의 뜨거운 나라 사랑에 절로 눈물이 났다.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나라의 엄중한 위기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운 여러분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국민을 향한 메시지가 아니라 오로지 자신의 지지자만을 향한 메시지였다.
윤 전 대통령의 이날 메시지는 헌재의 파면 결정 이후 두 번째 메시지다.
앞서 그는 파면 선고 당일인 지난 4일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사흘째인 이날까지 ‘승복’ 또는 ‘헌재의 결정을 받아들인다’ 등 구체적으로 헌재의 파면 결정을 수용한다는 별도의 승복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
특히 이날 메시지는 자신을 향한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호소하는 데 집중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된 직후 한남동 관저를 방문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에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당을 중심으로 대선 준비를 잘해서 꼭 승리하기를 바란다”며 자신의 파면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 승리를 당부했다.


尹, 사흘째 관저 머물러…이르면 내주 퇴거할 듯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사흘째인 6일 서울 한남동 관저 모습.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시기는 일러야 내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5.4.6 연합뉴스
민주당은 이날 윤 대통령의 두 번째 메시지가 나오기 전 논평에서 “내란수괴가 관저 정치로 또 대한민국을 흔들려 한다”면서 “윤석열은 헌재 판결에 대한 승복도, 국가적 퇴행을 불러일으킨 불법 계엄에 대한 사과도 없이 관저에서 국민의힘 측에 ‘대선 승리’를 운운하고 마치 상왕처럼 노고를 치하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의 두 번째 메시지가 나온 직후에도 민주당은 별도로 논평을 내고 “파면 선고 후 첫 입장문보다 더 괴기하다”고 신랄하게 꼬집으면서 “헌재가 헌정 질서를 유린한 불법 계엄을 헌법의 이름으로 단죄했는데도 윤석열은 사죄의 의사도 없이 극우 세력을 선동한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현재 결정에 대한 불복이고 조롱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조용한 윤 전 대통령 서초구 사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사흘째인 6일 윤 전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에서 퇴거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날 윤 전 대통령 사저가 위치한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의 모습. 2025.4.6 연합뉴스
파면 사흘째인 이날까지 윤 전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퇴거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의 퇴거는 금주 중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서초동 사저인 아크로비스타로 옮길 가능성이 큰 가운데 이곳이 주상복합인 탓에 경호동 설치가 쉽지 않고 윤 전 대통령 부부가 키우는 반려동물도 많아 다른 장소를 새로운 사저로 물색 중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