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 60%넘으면 민주당 유리?’....‘글쎄’

‘투표율 60%넘으면 민주당 유리?’....‘글쎄’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4-04-04 16:11
업데이트 2024-04-04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전투표 개시일을 하루 앞둔 4일 거대양당의 ‘투표 독려’가 이어진 가운데 전체 투표율이 60%를 넘으면 진보 진영이, 이보다 낮으면 보수 진영이 유리할 것이란 ‘통념’이 깨질지 관심이다. 정치권은 보수 성향이 강하고 투표율이 높은 60대 이상을 ‘상수’로 두고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하고 투표율이 낮은 40대 이하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율에 촉각을 곤두세워왔다.
이미지 확대
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4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불법카메라 탐지기 시연을 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4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불법카메라 탐지기 시연을 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실제 지난 20년간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를 보면 투표율이 60%를 넘겼던 2004년과 2020년 총선에서는 민주당 계열이 과반 의석을 챙겼다. 60.6%의 총선 투표율을 기록했던 17대에서는 민주당의 전신인 열린우리당인 152석을 얻었고, 투표율이 역대 가장 높았던 66.2%를 기록한 21대 총선에선 민주당이 180석을 차지했다.

반면 60%를 밑돌았던 2008년과 2012년 선거에선 보수 정당이 우세했다. 46.1%였던 18대 총선에선 한나라당이 153석을, 54.2%였던 20대 총선에선 새누리당이 153석을 얻어 승리했다. 투표율이 58%로 2016년 19대 총선에선 더불어민주당 123석, 새누리당 122석으로 엇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선 그동안 ‘캐스팅보터’ 역할을 해왔던 2030대 중도층 비율이 선거 막판까지 줄지 않으면서 이들이 얼마나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2030세대는 단순히 진보성향을 띈다기보다 당시 권력에 저항감이 큰 편인데, 민주당에서 불거진 ‘편법 대출’, ‘아빠찬스’ 등 젊은층이 거부감을 느끼는 이슈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수 없단 것이다.

투표에 참여하는 60대 이상 장년층의 유권자 비율이 커진 것도 보수 진영이 기대하는 지점이다. 50대 이상 유권자 수는 처음으로 전체 유권자의 절반을 넘었는데, 특히 60대 이상은 직전 21대 총선보다 210만명이 늘어난 1411만 55명(31.9%)로 역대 최대 규모다.

전문가들은 해당 통념에 대해 ‘반드시’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최창렬 용인대학교 특임교수는 “최근 젊은 유권자들이 무조건 민주당을 지지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높은 전체 투표율이 반드시 민주당에 유리하다고 보긴 어렵다”면서 “전체 투표율보다는 세대별 투표율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