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승민 측 “尹의 원가주택, 포퓰리즘” 직격에…윤석열 “그게 가짜뉴스”

유승민 측 “尹의 원가주택, 포퓰리즘” 직격에…윤석열 “그게 가짜뉴스”

이근아 기자
입력 2021-09-01 14:55
업데이트 2021-09-01 14: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의힘 대권주자 간 정책 경쟁 팽팽
尹의 원가주택 공약 두고 유승민 측 비판
“원가주택, 계획대로라면 2000조 국가손실”
윤석열, “가짜뉴스” 맞대응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2021.8.26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2021.8.26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 측이 1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내세운 원가주택을 정면 비판했다. 유 전 의원 측은 “(윤 전 의원의) 정책은 우리당이 지켜온 자유민주주의와 시장주의 가치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면서 “실현불가능한 포퓰리즘으로 청년을 농락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유 전 의원의 희망캠프에서 경제정책본부장을 맡은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은 이날 논평을 내고 윤 전 총장의 원가주택을 비판했다. 유 의원은 통계청장을 역임했다. 유 의원은 윤 전 총장의 정책을 두고 “종합적으로 1879조에 달하는 비용을 국가가 지불하는 사업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 2020. 8. 19 오장환 기자5zzang@seoul.co.kr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 2020. 8. 19 오장환 기자5zzang@seoul.co.kr
유 의원은 이와 같은 결과가 실제 서울시내 국공유지에 SH공사가 지은 아파트 단지(서울항동하버라인 4단지)의 건설원가(토지비 포함)를 기준으로 시세와 대비해 시뮬레이션을 돌려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윤 전 총장 측 주장대로 원가 수준으로 분양(토지와 건물을 포함한 소유권 이전)하고 이후 70%의 시세차익을 국가가 환매를 통해 보장하는 방식으로 총 30년간 3차례 재판매가 이뤄진다고 가정했다고 한다. 시세에는 서울시내 아파트가격상승률(3.9%)을, 건설원가에는 건설공사비지수상승률(3.7%)을, 택지비에는 서울시 지가상승률(3.1%)을 각각 최근 10년 평균을 적용하여 추계에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유 의원은 “30년간 총기회비용은 1000조에 육박한다”면서 “또 30년이 지나 주택이 소멸되거나 시장에서의 가치를 상실하면 국가가 정해진 환매금액을 모두 지불해야 한다. 총 지불 비용은 879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879조의 폭탄을 비래로 돌리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유 의원은 “정책 초기 단 한 번 로또일 뿐, 그 뒤로는 결코 청년과 무주택자들을 위한 주택일 수 없다”면서 “입당 전에 우리당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깊은 고민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청주 육거리시장 상인과 인사하는 윤석열
청주 육거리시장 상인과 인사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31일 청주시 육거리시장에서 상인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1.8.31 연합뉴스
앞서 윤 전 총장이 내세운 청년 원가주택은 무주택 청년 가구가 원가로 주택을 분양받고 5년 이상 거주 후 국가에 매각해 차익의 70%까지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의 정책이다.

유 전 의원 측의 비판에 윤 전 총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그런 것이 바로 가짜뉴스”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원가주택은 재정 부담이 들지 않는다. 초기 투입 비용이 나중에 주택을 분양하면서 회수되고 그 과정에 들어가는 금융 비용조차 원가에 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