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민주당 충청 투표 시작…충청·호남 대첩에서 결정된다

민주당 충청 투표 시작…충청·호남 대첩에서 결정된다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민도 기자
입력 2021-08-31 16:27
업데이트 2021-08-31 1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전·충남(9월 4일) 첫 개표, 판세에 결정적 영향 미칠듯
광주·전남(9월 26일)에서 승부 결정…노무현 ‘노풍’ 시작된 곳
강원(9월 12일)에서 일반 국민 70만명 표 공개 ‘슈퍼위크’

이미지 확대
의원 워크숍 찾은 민주 대선주자들
의원 워크숍 찾은 민주 대선주자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정기국회 대비 의원 워크숍에서 당 대선 경선 후보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 두 번째부터 대선주자인 박용진 의원,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이재명 경기지사, 윤 원내대표.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투표가 31일 시작됐다. 이날 대전·충남 지역 권리당원들이 온라인 투표를 시작한 데 이어 9월 4일 대전·충남을 시작으로 대의원 현장 순회투표가 실시된다. 10월 10일까지 이어지는 경선 레이스의 양대 산맥은 충청 대첩과 9월 25일 열리는 광주·전남 대첩이다.

 대전·충남과 세종·충북(9월 5일)의 대의원과 권리당원은 각각 전체의 10% 수준에 불과하지만, 첫 개표지인만큼 판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경선 당시 문재인 후보는 첫 경선지인 호남에서 60.2%를 득표하며 대세론을 입증했다. 전략적 투표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 온 충청은 양승조 충남지사가 예비경선에서 탈락해 맹주가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의 심장인 호남은 최대 승부처다. 광주·전남과 전북(9월 26일)에서 사실상 승부가 결정날 전망이다. 호남은 전체 대의원 1만 4730명 중 약 2000명, 권리당원 약 70만명 중 20만명을 보유해 수도권을 제외하면 최대 투표권자가 모인 곳이다. 광주는 2002년 경선에서 노무현 후보를 1위로 밀어 올리며 ‘노풍’(盧風)을 점화했다. ‘이길 수 있는 후보’를 선택하는 곳이라 충청의 표심이 호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1차 ‘슈퍼위크’인 강원(9월 12일) 경선에선 일반 선거인단의 표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1차 선거인단에는 약 70만명이 참여해 당심은 물론 민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10월 10일 서울에서 막을 내리는 경선은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1·2위를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과반 득표를 노리는 이재명 경기지사와 뒤집기를 꿈꾸는 이낙연 전 대표는 충청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 지사는 이날 예고편을 시작으로 오는 7일까지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후보로 나섰던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선문명답, 박영선이 묻고 이재명이 답하다’ 유튜브 방송에 출연한다. 선거 패배 이후 잠행하던 박 전 장관이 이 지사 지지를 선언해 대세론에 힘을 실어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낙연 전 대표는 친문(친문재인)·친노(친노무현)·강성 지지층 잡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명실상부한 ‘민주당 정부’를 열겠다”며 “국정과제 수립과 추진의 중심을 행정부에서 민주당으로 바꾸겠다. 비전위원회를 설치해 대선 공약의 수립부터 전권을 부여하겠다”고 밝혔다. 열린민주당과의 통합도 주장했다. ‘민주당 정부’와 열린민주당 통합 카드로 강성 지지층에게 호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김해 봉하마을로 이동해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에 참배한 후 노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멘토인 송기인 신부와 만찬을 가졌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