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은’ 호칭 없었으나 ‘싱가포르’는 인정…北 고심하는 이유

‘김정은’ 호칭 없었으나 ‘싱가포르’는 인정…北 고심하는 이유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1-05-25 17:14
업데이트 2021-05-25 17: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이후 북한을 향해 호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북한의 선택에 더욱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북한이 한미 간 회담 과정에서 나왔을 구체적 내용을 탐색하기 위해 대화에 응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이미지 확대
한미정상회담 성과 브리핑 하는 정의용 장관
한미정상회담 성과 브리핑 하는 정의용 장관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한미정상회담 성과 관련 관계부처 장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지난 21일 한미 정상 공동성명과 기자회견 등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이 사실상 다 공개됐음에도 북한이 뜸을 들이는 데는 북측 입장에서 썩 우호적인 결과가 아니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우선 북한이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여러 차례 제시한 ‘적대시 정책 철회’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 한미가 이에 대해 실질적인 안을 제시하진 못할지라도 북측의 핵심 요구사항이었던 만큼 관련 설명을 할 수도 있었지만 그러지 않았다.

기자회견 과정에서 비핵화 협상의 주체인 김 위원장에 대한 호칭이나 언급도 전혀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회견 중 질의응답 과정에서 ‘그(he)’라고만 지칭하며 “그가 바라는 것은 국제사회에 적법한 국가로서 인정을 받는 것인데 모두 다 주지는 않을 것이다. 국제사회의 상대로서 인식을 받고 싶어 하고 있는데 쉽게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북한 입장에서는 무시당했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미지 확대
한미정상 공동기자회견
한미정상 공동기자회견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5.22 연합뉴스
그럼에도 북한이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이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북한 역시 싱가포르 합의는 김 위원장의 외교적 성과로 꼽을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성명 내용에는 ‘북미 간 새로운 관계 수립’이 있어 사실상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고 관계 회복의 여지를 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4개월간 공석이던 대북특별대표를 임명한 것 역시 미국이 대화 의지를 최대한 드러낸 것이어서 북한도 이같은 기회를 거부하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도 이런 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5일 방미 성과를 설명하는 브리핑에서 “미국이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라며 “북측이 조만간 긍정적으로 호응해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화’ 용어를 설명하며 간접적인 메시지도 전달했다. 정 장관은 “이번 정상회담 계기에 불필요한 오해를 살 만한 용어를 통일했다”면서 “북한이 말하는 비핵지대화와 우리 정부가 말하는 한반도 비핵화 사이에 큰 차이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청년동맹 참가자들을 향해 엄지손가락 치켜세운 김정은
청년동맹 참가자들을 향해 엄지손가락 치켜세운 김정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9일 노동당 외곽 청년단체인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개칭) 제10차 대회가 폐막한 뒤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했다고 조선중앙TV가 30일 보도했다. 사진은 참가자들을 향해 미소 띈 얼굴로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운 김정은 위원장. [조선중앙TV 화면] 2021.4.30 연합뉴스
앞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23일(현지시간) 언론 인터뷰를 통해 북한에 대한 ‘외교적 관여’ 기조를 거듭 밝히며 “공은 북한에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반응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문정인 세종연구소 이사장은 인날 미국 평화연구소(USIP)가 공동주최한 화상 포럼에서 “이번에는 북한이 미국의 대화 요청에 응할 것으로 믿는다”며 “북한이 미국과 직접 하지 않는다면 (요청이) 한국에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온 구체적 내용을 듣기 위해서라도 일단 대화에 응할 것이란 관측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도 “북한도 결단이 늦어 대화의 기회를 놓친다면 정상국가는 커녕 코로나19 이후 국제사회의 외톨이가 될 수밖에 없고, 내부적으로 인민대중제일주의 정치가 아니라 인민고립제일주의정치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며 대화 가능성을 점쳤다.
이미지 확대
정의용-블링컨 대화
정의용-블링컨 대화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21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 공동기자회견에 참석해 있다. 2021.5.22 연합뉴스
반면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북미 간 뿌리 깊은 불신과 적대의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국이 협상을 통해 접점을 찾기는 매우 어렵다”며 “대타협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미국을 설득할 수 있는 한국과 북한을 설득할 수 있는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 개최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