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울먹거린 라임 피해자…야당 “특혜펀드”, 여당 “관련 없다”

울먹거린 라임 피해자…야당 “특혜펀드”, 여당 “관련 없다”

기민도 기자
입력 2021-05-07 16:26
업데이트 2021-05-07 1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구집 “상상을 할 수 없는 펀드”
김경률 “특혜성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장영준 “(김부겸) 개인적으로 몰라”
김부겸 “도저히 제가 알 수 없는 영역”
이미지 확대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6일 국회 제3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2021. 5. 6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6일 국회 제3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2021. 5. 6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상상을 할 수 없는 펀드입니다. 피해자들이 테티스 11호 펀드를 알게 됐을 때 진짜 경악을 했습니다.”

7일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한 정구집 라임자산 피해자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2000억 피해를 입히고 대담한 사기행각을 벌이면서 그 뒤로는 이런 펀드를 만들어서 팔 수가 있습니까”라며 울먹였다. 정 대표는 “가해자들이 당당하게 궤변을 하고 있다”며 “피해자 한 명이라도 그런(테트스11호) 제안한 적 있는지 한 번 물어보고 싶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증인과 참고인을 대상으로 김 후보자의 차녀 일가의 라임펀드 가입이 특혜라는 점을 강조했다. 참고인으로 참석한 ‘조국 흑서’ 공동저자인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는 ‘특혜 논란이 있다고 보나’라는 국민의힘 조수진 의원의 질의에 “특혜성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고 평가했다. 김 후보자 차녀 일가가 가입했던 라임자산운용의 ‘테티스 11호’ 펀드에 대해선 매일 환매가 가능했고 환매 수수료와 성과 보수가 0%였다는 점에서 “지극히 유리한 조건”이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후보자가 차녀 일가의 라임펀드 가입과 관련이 없다는 점을 짚었다. 증인으로 출석한 장영준 전 대신증권 반포WM 센터장은 ‘김 후보자를 아느냐’는 민주당 서영교 의원 질문에 “총리 후보라서 아는 것이지 개인적으로 아는 관계는 아니다”고 답했다. ‘펀드 구성과 관련해 김 후보자의 부탁을 받았느냐’는 질문에도 “그런 일은 없었다”고 했다. 장 전 센터장은 ‘(김 후보자 차녀 가족 일가가) 손해를 보았느냐’라는 질문에 “현재 손실을 보는 중이다”고 답했다. 후보자 차녀 가족 일가가 ‘피해자들이냐’고 묻는 말에도 장 전 센터장은 “그렇다”고 답했다.

증인으로 참석한 오익근 대신증권 대표이사는 ‘환매수수료가 어떻게 책정되느냐’는 민주당 오기형 의원 질문에 “투자 자산의 유동성이 얼마나 쉬우냐에 따라 측정된다”고 답했다. ‘테티스 11호와 6호의 투자대상 차이가 환매 조건의 차이로서 반영될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도 “그런 요소가 반영된 게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오 의원이 “펀드 초과 보수는 반드시 결정하느냐. 안 하는 경우도 있느냐”고 묻자 오 대표는 “보통 펀드는 성과 보수가 없는 펀드가 많이 있다”며 “채권형 펀드일수록 성과 보수를 책정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오전 “(펀드 투자 등) 경제 활동의 주체가 제 사위인 셈인데 ‘김 후보자 딸의 가족’ 이렇게 얘기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프레임”이라며 “도저히 제가 알 수 없는 영역에 그림을 그려놓고, ‘이런데도 (사실이) 아니냐’고 하면 뭐라 하겠나”라고 반박했다. 그는 “만약 그런 식으로 편법을 부리거나 권력을 행사했다면 제가 여기까지 어떻게 버텼겠나”라며 “제 나름대로 삶에 대한 기준이 있어서 여기까지 버텨왔다”고 강조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