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 중대재해 유족 “시늉만하는 국회”, 정세균 “건강 해치지 않도록…”

단식 중대재해 유족 “시늉만하는 국회”, 정세균 “건강 해치지 않도록…”

신형철 기자
입력 2020-12-27 17:47
수정 2020-12-27 17: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협의회 참석을 마치고 국회 본관 앞에서 ‘중대재해 기업 처벌법’ 재정을 위해 단식 투쟁중인 정의당 강은미 원내대표와 故김용균 씨의 어머니 김미숙 씨, 故이한빛 PD의 아버지 이용관 씨, 중대재해 기업처벌법 운동본부 집행위원장 이상진을 만나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협의회 참석을 마치고 국회 본관 앞에서 ‘중대재해 기업 처벌법’ 재정을 위해 단식 투쟁중인 정의당 강은미 원내대표와 故김용균 씨의 어머니 김미숙 씨, 故이한빛 PD의 아버지 이용관 씨, 중대재해 기업처벌법 운동본부 집행위원장 이상진을 만나고 있다. 뉴스1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요구하면서 국회 본관 앞에서 단식 중인 고 김용균씨의 어머니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과 고 이한빛 PD의 아버지 이용관씨가 여야를 향해 중대재해법의 조속한 입법을 촉구했다. 정세균 국무총리와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도 농성장을 찾아 유가족과 짧은 대화를 나눴다.

27일 단식농성 돌입 17일차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연내 입법 촉구 기자회견에서 김씨는 “사람이 매일 6명 이상 죽어가고 있다”면서 “매일 여섯 가족 이상이 지옥으로 들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씨는 “사람들을 살려달라고 밥을 굶은 지 오늘로 17일째가 되었다”며 “하지만 국회의원들은 법 통과 의지를 보이지 않고 시간만 끌고 있는 거 같다”고 호소했다.

유족과 강은미 정의당 의원, 이상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지난 11일부터 국회 본청 앞에서 단식농성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정청 협의가 끝난 뒤 정세균 국무총리,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과 마주치기도 했다.

유족 등이 연내 조속한 법안 통과를 요구하자 정 총리는 “(국회와는) 업무가 달라서…. 건강 해치지 않도록 하시라”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참석을 위해 자리를 떠났다. 이어 방문한 노 비서실장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단식을 풀어달라는 요구에 대해서도 “우리들 몸상할 걱정보다는 본인들 입장이 난처해서 그러는 것처럼 보인다”라며 “우리가 이렇게 하는 이유는, 국회가 먼저 나서서 사람들 죽음을 막는 법을 만들어야 하는데, 시늉만 하지 뚜렷하게 진척되는 게 없기 때문”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김씨는 여당과 야당을 동시에 비판했다. 김씨는 “민주당에서는 국민의힘이 논의에 들어오지 않아 처리가 어렵다고 말한다”며 “야당이 협상에 나오지 않으면 여당 단독으로라도 처리해달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에서는 논의에 들어오지 않으면서, 민주당이 단일안을 내면 들어오겠다고 말한다”며 “논의는 하지 않다가 나중에 들어와서 법안을 희석시킬 생각이라면, 국민들이 참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씨도 이어진 발언에서 “밤이면 잠 못 이루며 뒤척이고, 엠브란스 소리만 들려도 가슴이 내려앉는다”라며 “며칠이면 해가 넘어가는데, 여야 정치인 모두 서로 떠넘기기로 허송세월만하고 있으니 애간장이 탄다”고 말했다. 이씨는 또 “죽음의 행렬을 멈추게 하기 전에 저는 죽을 수가 없다”라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만들기 위해 제 목숨이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드리겠다”고 말했다.

유족과 강은미 정의당 의원, 이상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지난 11일부터 국회 본청 앞에서 단식농성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정청 협의가 끝난 뒤 정세균 국무총리,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과 짧게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연내 법안 통과가 필요하다는 유족의 요구에 정 총리는 “(국회와는) 업무가 달라서…. 건강 해치지 않도록 하시라”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참석을 위해 자리를 떠났다. 노 실장은 “국회에서 하는 일이니 당에다가(말하겠다)”며 “아마 제가 듣기로는 하기로 그렇게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안이 소극적이라는 김종철 정의당 대표의 지적에 노 실장은 “알겠다. 제가 지금 3시에 회의가 있다”며 자리를 떴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