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평화의 시작은 ‘우리’였다

평화의 시작은 ‘우리’였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5-01 22:44
업데이트 2018-05-02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 정상회담 사용 단어 분석

두 정상 ‘우리’ 가장 많이 써
文대통령 35번·김정은 25번

11년 만에 열린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우리’였다. 손잡고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을 3번이나 넘나든 양 정상은 정상회담 결과물인 판문점 선언 첫머리에서 ‘우리’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35번, 김 위원장은 25번으로 ‘우리’를 가장 많이 호출했다. 적대적 관계를 청산하고 사고의 시작과 끝에 ‘우리’를 놓기 시작한 양 정상의 상생적 사유가 엿보인다.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이 1일 남북 정상회담 모두발언, 만찬사와 판문점 선언 발표 소회문을 어절 단위로 분석한 결과 두 정상이 많이 사용한 단어가 상당 부분 일치했음을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35번) 외에도 오늘(19번), 김 위원장을 일컫는 ‘위원장’(18번), 평화(15번), 김정은(14번), 세계 (12번), 군사분계선·민족(11번), 북·한반도·함께·남북·남(8번)을 빈번하게 사용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25번), 오늘(18번), 역사(14번), 대통령(12번), 여러분·좋다(10번), 평화·자리·북남(9번), 남·민족·북(8번), 합의·문재인·나(7)를 자주 언급했다. 양 정상 모두 평화와 민족을 여러 차례에 걸쳐 강조했다. ‘평화, 새로운 시작’이란 남북 정상회담의 슬로건처럼 한반도 평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데 확실한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민족’은 판문점 선언 1장부터 등장한 단어다. 김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함께 손잡고 민족의 미래를 위해 과감하게 나가야 한다”고 발언하는가 하면, “한 핏줄 한민족”, “우리 민족이 새로운 미래를 개척해야 한다”라고 민족 동질성과 우리 민족끼리의 정신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 역시 “우리 민족의 운영을 주도적으로 결정”, “민족적 단합과 협력”, “민족 번영”을 언급할 때 이 단어를 사용했다.

‘번영’은 문 대통령이 7번, 김 위원장이 6번 언급했다. 주로 평화를 언급할 때 번영이 따라붙었다. 평화 없이는 한반도의 미래도 없다는 양 정상의 굳은 의지가 읽힌다. 문 대통령은 이 밖에도 협력(6번), 만남·군사분계선·국민·마음·통일·비핵화·시작·봄(4번)을 자주 언급했고, 김 위원장은 겨레·새로운(6번), 판문점·마음가짐·시대·결과·의지(5번), 노력·미래·시작·상봉(4번)이란 표현을 즐겨 썼다.

주목할 만한 점은 김 위원장이 공개 일정을 통틀어 ‘비핵화’를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비핵화를 4번이나 언급했다.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민감하고 껄끄러운 핵 폐기를 직접 언급하는 것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다만 김 위원장은 판문점 선언 채택 후 입장 발표에서 “온 겨레가 전쟁 없는 평화로운 땅에서 번영과 행복을 누리는 새 시대를 열어 나갈 확고한 의지를 같이하고 실천적 대책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만 해도 “핵 단추가 책상 위에 놓여 있다”고 위협하던 김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의식적으로 긍정적 표현만 골라 썼다. ‘결실·이행·도전·만남·마음·합치다·지향·창조·손잡다’ 등의 미래지향적 단어가 발언문을 수놓았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5-02 10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