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첫 통상교섭본부장 취임
“원교근공 아닌 성동격서 전략 고민해야”한·미 FTA 공동위 의제 ISD 포함 검토

세종 연합뉴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이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김 본부장은 10년 전 자신이 주도했던 한·미 FTA 협상을 다시 손봐야 하는 중책을 맡게 됐다.
세종 연합뉴스
세종 연합뉴스
김 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우리가 예측 가능하게 행동하기를 원하는 건 협상 상대방뿐”이라며 “모두가 전략가가 돼 달라”고 주문했다. 김 본부장은 다소 긴장돼 보였지만 특유의 무표정과 매서운 눈빛은 여전했다.
김 본부장은 “수세적, 방어적 자세로 통상업무를 해 나간다면 우리는 구한말 때처럼 미래가 없다”면서 “통상 협상가는 주인의식을 가지고 국익을 지켜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상대방은 주인의식의 부재를 즉시 간파한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면서 영어로 “I guarantee it”(내가 장담한다)이라고 원고에 없던 말을 즉석에서 덧붙였다.
김 본부장은 “전시 지도자와 평시 지도자는 달라야 한다”고도 했다. 또 “보호무역주의와 포퓰리즘이 힘을 얻어 세계 통상의 틀이 바뀌었는데 기존의 예측 가능한 대응방식으로는 총성 없는 통상전쟁에서 백전백패할 것”이라며 “이제는 모범답안을 새로 쓸 때”라고 말했다. “과거의 통상정책이 원교근공(遠交近攻·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한다)이었다면 이제는 성동격서(聲東摩西·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 친다)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취임식이 끝난 뒤 ‘투자자국가소송제’(ISD)가 협상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김 본부장은 “(한·미 FTA 공동위원회 의제에) 포함이 안 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번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 공동위 개최 장소를 미국이 요구한 워싱턴DC가 아닌 서울로 역제안한 데 대해서는 “협정문에 그렇게 돼 있지 않은가.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못박았다. 김 본부장은 차관 직급이 업무 수행에 제약이 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웃으면서 “장관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면 되지 않을까요”라고 되물었다. 통상교섭본부장은 직제상 차관급이지만 대외적으로는 ‘통상장관’의 지위가 주어진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8-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