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여사 ‘내조외교’ 첫 무대…멜라니아 여사와 호흡 주목

김정숙 여사 ‘내조외교’ 첫 무대…멜라니아 여사와 호흡 주목

입력 2017-06-25 09:10
수정 2017-06-25 09: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쾌한’ 김 여사·‘조용한’ 멜라니아 여사…성향은 대조적

靑 관계자 “김 여사의 친화력으로 좋은 관계 만들 것”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한미 정상회담 못지않게 두 정상의 부인이 펼칠 ‘내조 외교’에도 관심이 쏠린다.

역대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방미 때면 양국 동맹의 무게감에 걸맞게 ‘퍼스트레이디’의 내조 외교도 주목받았다.

문 대통령의 부인인 김정숙 여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만 보면 거의 정반대에 가까운 캐릭터를 갖고 있다.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한 김 여사는 졸업 후 서울시립합창단에서 활동했지만, 변호사 일을 시작한 문 대통령을 따라 부산으로 내려간 뒤 내조에 충실했다.

멜라니아 여사는 슬로베니아(구 유고슬라비아)에서 태어나 디자인과 건축을 공부하고 밀라노와 파리, 뉴욕에서 모델 활동을 하다가 2005년 트럼프 대통령의 셋째 부인이 됐다.

대중에 드러나는 이미지도 극과 극이다.

‘유쾌한 정숙씨’라고 불릴 정도로 김 여사의 성격이 활발한 반면, 멜라니아 여사는 ‘은둔의 퍼스트레이디’라고 불리며 한때 좀처럼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내조 외교’가 잘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시각도 있지만, 청와대는 긍정적인 관측을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여사의 친화력으로 첫 만남에서도 어색함 없이 멜라니아 여사와의 ‘내조 외교’를 성공적으로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선 때부터 특유의 친화력과 외향적인 성격으로 다소 무뚝뚝한 문 대통령을 보완했던 김 여사가 이번에도 공식 만찬과 별도의 환담 자리에서 ‘퍼스트레이디’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은둔형’에 가까웠던 멜라니아 여사가 최근 공개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도 낙관적인 신호로 보인다.

멜라니아 여사는 두 달 전 미·중 정상회담 때 공식 만찬 장소에 도착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彭麗媛) 여사를 직접 마중하는 등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다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김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가 어떤 패션을 선보일지도 관심사다.

미·중 정상회담 때 멜라니아 여사는 상대를 배려해 중국을 상징하는 붉은 원피스를 입어 눈길을 끌었다.

김 여사도 외교부 등 주변의 조언을 경청하면서 정상회담 때 어떤 옷을 입을지 등을 신중히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하는 일정과 별도로 김 여사는 현지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스킨십 행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례에 비춰봤을 때 교포들을 격려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물론 교육·복지 시설 등을 둘러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윤옥 여사는 2008년 4월 첫 방미 당시 워싱턴 DC의 저소득층 아동 보육시설과 국립 여성예술박물관을 찾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는 2003년 5월 미국을 방문해 뉴욕의 한글학교 교사들과 간담회를 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는 1998년 6월 뉴욕의 시각장애인 교육기관에 들러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 축사 및 시설점검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27일 용산구 이촌1동 소재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에 참석, 축사와 함께 시설점검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용강중학교 권충환 교장, 이태승 교감, 최광호 축구부장, 장태우 축구감독, 학교운영위원회 김민영 위원장, 축구부 학생 등 70여명이 참석하여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을 축하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말에도 학교를 직접 방문해 공사 현장 및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등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왔다. 용강중학교는 오랫동안 학생들의 체육활동 공간 개선을 위해 인조잔디운동장 조성을 숙원사업으로 추진해 왔으며, 학부모와 학교 관계자들의 지속적인 요청과 성원이 이어져 왔다. 김 의원은 인사말에서 “지난 연말 2025년도 서울시 예산 편성 과정에서 6억5천만 원이라는 큰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도 있었지만, 이를 확보한 결과 지난 7월 초 공사를 착공할 수 있었고 오늘 드디어 완공을 보게 되어 감회가 깊다”며 “특히 인조잔디구장 건립을 오랫동안 염원해온 학교 관계자와 학부형들, 일반 학생들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 축사 및 시설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