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봉현 “총 발전량의 3.9% 수준…가뭄·하자로 가동에 한계”
북한이 김정은 정권 들어 지난해와 올해 대규모 발전소 공사를 잇달아 마무리하며 전력 수급에 몰두하고 있어 실제 전력 사정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지난 5월 열린 노동당 7차 대회에서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제시하면서 전력문제 해결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5일 “대규모의 금야강군민발전소가 동해지구에 훌륭히 일떠섰다”며 “발전소가 조업함으로써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 수행의 선결 조건의 하나인 전력문제를 푸는 데서 전진이 이룩되게 되었다”고 밝혔다.
북한 보도에 따르면 김일성 주석이 1994년 발전소 건설과 관련한 ‘가르침’을 주었으며, 2003년 4월 주민들의 궐기 모임을 갖고 공사에 ‘총진입’했다. 길게 보면 20여 년, 짧게는 13년의 사업 추진 끝에 공사를 마무리한 셈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0월에도 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13년 간의 공사 끝에 ‘백두산영웅청년발전소 1·2호’를 완공했다. 이어 올해 4월에는 3호 발전소를 짓고 ‘70일 전투’의 성과로 내세운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의 부족한 기존 발전 시설 규모를 고려하더라도, 국가 차원의 사업으로 추진한 이들 발전소가 당장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북한의 총 발전량은 연간 216억kWh으로, 이는 한국의 4% 수준이다. 이 가운데 수력발전의 생산량이 130억kWh(60.2%)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화력발전(86억kWh)이 차지하고 있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은 일단 “완전 가동을 가정하면 백두산발전소 발전량은 연간 3억kWh, 금야강군민발전소는 5억4천만kWh로 합하면 종전 한해 발전량의 3.9% 수준이 되어 결코 작지 않은 규모”라고 평가했다.
조 부소장은 그러면서도 “속도전으로 인한 시설상의 하자나 홍수·가뭄 등 기후상의 문제로 가동 중단이 잦은 한계가 있다”면서 “현 단계에서는 정권이 전력 수급에 힘을 기울인다는 점을 과시하는 상징적 측면이 크다”고 분석했다.
다만 북한이 발전소 건설을 지속적인 사업으로 추진하는 점이나 상대적으로 전력 상황이 나쁜 지방을 중심으로 발전소를 늘려가는 만큼 특히 지방 경제 부문에 긍정적 효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노동신문은 “금야강군민발전소가 일떠섬으로써 아래에 계단식으로 중소형 발전소들을 건설할 수 있는 전망이 열리게 되었으며, 금야군 인민들이 자체의 힘으로 시작한 금야강2호발전소 건설은 완공을 앞두고 있다”고 밝혀 인접 지역에 발전소를 추가 건설할 것으로 보인다.
조 부소장은 “정권이 평양뿐 아니라 지방에도 신경을 쓴다는 점을 보여주는 측면이 있다”며 “일정 수준 지방의 전력 상황이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