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책임을 남에게만 묻는 것은 민망”…文 비판

김한길 “책임을 남에게만 묻는 것은 민망”…文 비판

입력 2015-12-17 15:45
업데이트 2015-12-17 1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 책임묻는다는 단호함 먼저 거울보면서 적용해야”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전 공동대표는 17일 “문재인 대표가 더 엄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한다. 야권의 분열상에 대해 모든 책임을 남들에게만 묻는다면 세상에 참으로 민망한 일이 되지 않겠느냐”며 문 대표를 정면 비판했다.

문 대표가 전날 “혁신을 무력화하고 당내 투쟁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정권교체를 방해하는 세력에 대해 이제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비주류의 대표직 사퇴 요구 등에 대해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취지로 말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해석된다.

김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바람이 차다. 세월이 춥다”며 “문 대표의 표정과 말씀이 무섭다. 이 단호함과 엄격함은, 먼저 거울을 보면서부터 적용돼야 마땅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자신이 지난해 7·30 재보선 참패 후 대표직에서 사퇴할 때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납니다. 죄송합니다”라는 한 마디만 했다고 소개한 뒤 “나를 흔들어대는 사람들 때문에 못해 먹겠습니다라고는 하지 않았다”고 문 대표를 재차 겨냥했다.

그는 “제가 대표직에서 사퇴하면서 말한 ‘책임’은 당에서 나를 흔들어대는 사람들까지를 포용하고 통합해야할 책무를 뜻한 것이었다”며 “당 대표는 자신과 생각이 다를지라도 당의 모든 국회의원과 당원의 대표이기 때문이다. 추운 날들을 벗어날 즈음에 받아들 성적표가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그러나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