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쌓기 유해 발굴’ 시인…현충원 권위 타격

‘실적쌓기 유해 발굴’ 시인…현충원 권위 타격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5-12-06 18:27
업데이트 2015-12-06 18: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상 첫 현충원 유해 반출 안팎

 국방부가 6일 국립서울현충원에 화장된 상태로 안치된 유해 1535구를 현충원 밖으로 내보내기로 한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다. 국방부가 각별한 의전을 거쳐 호국영령으로 안장해 온 유골 중 일부에 적군 유해가 혼재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시인한 것은 보통 일이 아니며, 현충원의 권위가 심각하게 손상됐다는 지적이다.

 국방부는 서울현충원에서 반출하는 유해 1535구를 우선 국유단 중앙감식소의 유해보관장소인 국선재에 보관한다. 이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건립 예정이던 유해발굴감식단 자체 유해봉안시설의 건축 일정을 앞당겨 이들 유해를 영구 보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전 시기는 국방부 장관 보고를 거쳐 확정될 전망이다.

현충원 밖으로 반출하는 유해 1535구의 경우 DNA를 비교 분석해도 전 국민 중 수천명 이상 일치하는 결과가 나오는 미토콘드리아 DNA 추출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앞으로 전면 재검사를 진행해도 명확한 신원 확인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중 현충원으로 다시 돌아오는 유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박선주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는 “2007년 이전 발굴 유해들은 DNA로 신원을 찾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에 화장을 해서 현충원에 보관한 것”이라면서 “국유단이 유해발굴사업의 초점을 피아 판정보다 신원 확인에 우선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국유단의 적과 아군 유해 판정은 한국군, 중공군, 북한군이 뒤섞여 싸운 6·25 전쟁에서 동양계 유해를 DNA만으로 구분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이 없기 때문에 주로 유해와 함께 발견된 개인 유품과 전사 연구 등에 의존해 왔다. 그래서 국유단이 신원을 확인한 109구의 국군 유해 중 순수 DNA만으로 신원이 확인된 인원은 20여명에 불과하다.

국방부 관계자는 “유해발굴단의 일부 감식 결과지에 전쟁사, 제보, 유품 등 판단 근거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은 점이 발견돼 판정 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면서 “과거에는 발굴한 유해의 숫자가 성과분석 및 우수부대를 선발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그동안의 유해 발굴 사업이 실적 올리기 위주로 진행된 점이 있음을 시인한 것이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유골에 대해 임의적으로 조작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며 이번 내부조사를 통해 확인하기에는 당시 문서로 남겨진 자료가 부족했다”고 선을 그었다.

군은 피아 판정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조직운영을 혁신하기 위해 다음달쯤 유해발굴감식단의 업무 수행 방안에 대해 토의를 열겠다고 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